장애 체험으로 시작 책 출간까지 5년…

‘장애인의 교통·건축물 접근권을 강화할 것.’ 2014년 10월 우리나라가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로부터 권고받은 내용이다. 장애인들의 여가 활동 대부분은 ‘TV 및 비디오 시청'(96%)으로, 문화 예술을 관람하는 장애인은 7%에 불과하다.(2014 장애인 실태조사) ‘오늘 이 길, 맑음: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지하철 여행기(도서출판 미호)’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 책이 나오기까지 걸린 시간은 꼬박 5년. 밀알복지재단이 2010년부터 진행한 장애 체험 프로그램 ‘특별한 소풍’이 계기가 됐다. 비장애인이 휠체어와 안대를 착용해 서울 곳곳을 누비던 활동은 2013년 ‘특별한 지도 그리기 프로젝트’로 발전했다. 특정 명소뿐 아니라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로 한 것. 2010년부터 밀알복지재단 자원봉사자로 활동하던 정지영 작가의 아이디어였다. 2013년 말, 특별한 지도 그리기 서포터스 1기를 시작으로 16명의 자원봉사자가 힘을 모았다.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유경재(31·지체1급)씨의 합류로 경사로의 각도, 도로 옆 배수구 등도 꼼꼼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지난해까지 만들어진 지도는 40여개. 결과물을 널리 알리자는 취지로 20곳을 선정해 책으로 묶었다. 정 작가는 지하철역 주변 볼거리, 먹을거리 등을 장애인의 관점에서 소개하는 에세이 작업과 사진 촬영을 담당했고, 자원봉사자들은 지하철역 주변 체크를 맡았다. 5명의 사진 재능 기부자들도 추가로 힘을 보탰다. 장혜영 밀알복지재단 사업운영부 홍보팀 간사는 “휠체어가 다닐 수 있다는 것은 어린아이, 유모차가 있는 엄마, 노약자들도 무리 없이 다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장벽이 없는 환경을 위한 작지만 의미 있는 걸음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인세 전액은 밀알복지재단 장애 인식 개선 사업을 위해 사용된다.

“휠체어도 유모차도 문제없어요”

장애인을 위한 지하철 여행지도책 ‘오늘 이 길, 맑음’서 소개된 서울 지하철역 20곳 중장애인들도 이동하기 편리한 문화·먹거리 명소 정보   이 책을 보니 ‘맑은 길’을 선물 받은 느낌입니다. 오랜만에 밖을 나서기로 결심했습니다.”(신명수·25·지체3급) 서울 지하철역 여행기를 담은 에세이에 대한 평가다. 출간한 지 한 달이 채 되지 않았지만 ‘지방 편은 안 나오느냐’ ‘2탄을 만들어달라’ 등 관심이 뜨겁다. 밀알복지재단이 기획하고 정지영(37) 동화작가가 카메라와 펜을 든 ‘오늘 이 길, 맑음: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지하철 여행기'(도서출판 미호)가 주인공이다. 겉보기엔 일반 여행도서와 다를 바 없지만, 서울 시내 지하철역 20곳을 중심으로 휠체어나 유모차로 이동이 가능한 주변 명소와 문화 공간, 먹거리 공간 등이 소개돼 있다. 휠체어 대어 가능 여부, 엘리베이터 위치 등 편의 시설 현황과 장애인 할인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장애인의 달인 4월을 맞아, 정지영 작가가 추천한 지하철역 여행코스를 소개한다. 5·9호선 올림픽공원역 정 작가가 1순위로 추천하는 지하철역은 ‘나홀로 나무’로 유명한 올림픽공원역이다. 정 작가는 “공원 내부에 자전거 도로가 설치돼 있는데, 자전거가 가는 길이라면 휠체어나 유모차도 갈 수 있다”며 “1시간 30분 정도 걸리는 짧지 않은 코스이지만 분수가 보이는 넓은 광장, 카페, 그늘 벤치에서 여유로운 휴식을 보낼 수 있다”고 귀띔했다. 넓은 올림픽공원이 부담된다면 정문에서 출발하는 호돌이 열차(순환열차)를 타는 것도 한 방법이다. 휠체어 칸이 있고, 이용 요금도 2000원 정도로 저렴하다. 공원에서 휠체어 대여가 가능하며, 장애인 화장실은 14곳 설치돼 있다. 한적하고 조용한 산책을 원하다면 5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