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유독 임팩트 생태계의 ‘인재’를 조명하는 기사들이 두드러졌다. 새로운 리더십을 조명했던 ‘임팩트 생태계 ‘90년대생 리더십’ 시대 열렸다’가 그러했고, 생태계에 필요한 새로운 청년의 언어를 살펴본 ‘이 언어는 누구의 것인가: 청년이 다시 쓰는 임팩트’가 그러했다. 서울숲임팩트클러스터가 조성된 지도 어느덧 10여 년. 수많은 이들이 이 생태계에 발을 들이고, 또 떠났다. ‘맨 땅에 헤딩’하듯 스타트업을 일구던 시절이 지나, 한때 ‘영원한 주니어’로 불리던 이들이 이제는 팀장, 매니저, 책임 매니저 등 시니어 레벨로 자리 잡았다. 각자의 방식으로 솔루션을 고도화하며 생태계의 중추로 성장했다. 하지만 생태계가 성숙하고 솔루션이 다변화할수록, 인재 유입과 육성에 대한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다. 대학과 연계해 인재를 끌어오던 기존 전략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위축됐다. 여기에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긴 호흡의 ‘장거리 달리기’ 속에서 회의감을 느끼는 이들도 생겨났다. ‘그저 좋은 마음’만으로는 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시대다. 임팩트 비즈니스가 ‘착한 일’이 아닌 ‘지속 가능한 일’로 인식이 바뀌었듯, 이제는 이 장거리 달리기를 계속할 힘의 원천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그 실마리를 찾기 위해 임팩트스퀘어는 지난 13일, 자체 미디어 ‘임팩트 비즈니스 리뷰’를 통해 그룹 인터뷰(FGI) 아티클 ‘인재를 지켜라! 그런데, 어떻게?’를 발행했다. 임팩트 생태계의 서로 다른 조직 형태와 경력, 업무 지속 여부를 지닌 4명의 구성원을 초청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생태계 구성원들의 솔직한 속내를 통해, 우리가 함께 고민해야 할 핵심 아젠다를 찾아보려는 자리였다. ◇ 금전보다 ‘성취’와 ‘성장’의 갈증이 커 FGI를 기획하며 임팩트스퀘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