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슬세권’이 주목받고 있다. 슬세권은 슬리퍼와 세권(勢圈)을 합친 말로, 슬리퍼를 신은 가벼운 복장으로 카페, 편의점, 영화관, 쇼핑몰 등 각종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주거 지역을 일컫는다. 젊은 세대의 주거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도 하다. ‘골목길 경제학자’라 불리는 저자는 도시의 미래를 동네에서 찾는다. 그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존 유통 산업에 찾아온 위기를 집 주변 ‘동네’가 주목받을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한다. 동네 상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로컬의 핵심은 다양성이다. 저자는 각 지역만이 가진 역사, 문화, 공동체 등을 활용해 동네를 차별화된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 책은 앞서 출간된 ‘골목길 자본론’ ‘인문학,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과 함께 저자의 ‘로컬 비즈니스 3부작’의 완결편에 해당한다.모종린 지음, 알키, 1만9000원 내 친구 압둘와합을 소개합니다시리아 내전이 만 10년을 맞았다. 그간 시리아에서 발생한 난민은 1150만명에 이른다. 이들은 터키, 레바논 등 이웃국가로 몸을 옮겼다.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는 난민들의 고통은 길어지고 있지만 이들을 향한 혐오의 시선은 누그러들지 않는다. 저자는 시리아 난민 압둘와합을 ‘친구’로 소개한다. 압둘와합은 시리아에서 변호사로 일하다 한국으로 유학길에 오른 첫 번째 시리아인이다. 저자도 압둘와합을 처음 만났을 당시를 회상하며 이국적인 외모와 문화적 차이로 거부감을 느꼈다고 고백한다. 이후 친분을 쌓으며 속사정을 알게 되고, 이슬람과 난민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했다. 저자는 “북한과 전쟁이라도 나면 한국인도 난민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2020년 기준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난민은 3454명.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는 난민과 좀체 어울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