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에 선하게 시각장애인의 눈이 돼준 베테랑 화면해설작가 5명이 쓴 고군분투기. 화면해설작가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영화나 드라마 화면 속 시간과 공간, 등장인물의 표정과 몸짓, 대사 없이 처리되는 여러 정보를 해설하는 원고를 쓴다. 작가의 글은 성우 목소리에 실려 시각장애인들에 전달된다. 시각 정보를 소리의 언어로 바꾸는 작업은 전문성과 예술성을 요한다. 대개 등장인물의 대사와 대사 사이, 혹은 내레이션과 내레이션 사이 10여 초의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압축해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작가들은 가장 정확한 표현을 찾기 위해 조사 하나도 허투루 보지 않는다. 볼 수 없는 이들을 위해 세상을 글로 그려내는 화면해설작가들의 직업 수기인 이 책은 작가들이 어떤 삶을 살아가는지, 장르·소재에 따라 어떤 문법을 사용하는지 등을 알려준다. 영상 속의 장면을 한 편의 시(詩)처럼 전달하기 위해 분투하는 화면해설작가들의 작업실 너머 얘기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권한다. 권성아·김은주 외 3명 지음, 사이드웨이, 1만6000원, 268쪽 타오르는 질문들 마거릿 애트우드의 에세이 선집. 독일도서전 평화상, 미국PEN협회 평생공로상을 수상한 애트우드는 ‘현존하는 가장 치열한 작가’라 불린다. 이 책에는 환경, 인권, 문학, 페미니즘 등 애트우드가 평생 관심을 가져온 다양한 주제와 관련된 에세이 62편이 수록돼 있다. 애트우드는 “21세기에 도래한 위기는 이전 시대의 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라며 방대하고 세세한 역사적 지식, 다채롭고 기발한 비유가 담긴 이야기로 인류가 당면한 전 지구적 문제들에 답한다. 애트우드 특유의 유머는 자칫 무겁고 딱딱할 수 있는 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미있게 풀어낸다. 매년 40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