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자체·투자사·개인·정부도 ‘적극’ 지역 기반 투자 논의 금액만 400억 ‘임팩트 금융’까지 본격화 움직임 지역에 기반을 둔 소셜벤처·사회적기업을 키워내는 ‘로컬 임팩트 투자’가 주목받고 있다. 강원·경남·인천·제주·군산 등 여러 지역에서 지자체, 투자사, 개인 투자자 등 다양한 주체가 임팩트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 여기에 정부까지 ‘적극 육성’ 의지를 드러내면서 관계자들 사이에서 “판이 커지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지역 기반 투자 금액은 약 400억원 규모다. 융자금과 지원금까지 더하면 전체 금융 지원 규모는 훨씬 커질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5월 임팩트투자사 소풍벤처스가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와 시작한 초기 소셜벤처 지원 사업이다. 지역 내 문제를 해결할 소셜벤처를 키운다는 목표로 개인 투자 조합을 결성했는데, 최근 지자체에서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펀드 규모가 커질 전망이다. 인천과 경남 등은 지자체가 먼저 나섰다. 인천테크노파크는 지난해 말 250억원 규모의 임팩트펀드를 조성하고 지역 활성화 의지를 가진 기업 육성에 나섰다. 경남도는 오는 9월 20억원 규모의 경남청년임팩트투자펀드를 결성한다고 발표하고 임팩트투자사 MYSC를 투자 운용사로 선정했다. MYSC는 “부산·제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임팩트 투자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도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표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지난 5월 서울 성동구 헤이그라운드에서 열린 ‘소셜벤처 현장간담회’에서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지역 소셜벤처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투자뿐 아니라 융자·지원도 늘면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임팩트 금융’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도 나온다. 지난달 한국사회투자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와 함께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 조직을 위한 무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