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을 배우다 장애인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19.2%의 장애인만이 문화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장애인 문화활동 실태 및 욕구조사(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도 문화 및 여가 활용 내용의 76%가 TV시청이었으며, 문화예술교육 경험률은 2.3%에 불과했다. 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과 질적 내용은 여전히 낮은 상태다. 이에 예술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 변화에 주목하며 문화예술 교육을 발달시켜 온 영국의 장애인 문화예술 교육 단체를 방문해 우리의 현재와 비교해 보았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지적 장애인 특화 단체인 맨캡은 직접 운영하고 있는 대학에 예술학과를 가지고 있으며 예술 교육을 위한 산하 단체인 아트 스파이더를 통해 장애인 청소년 대상 랩, 펑크록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대상과 장르를 세분화해 예술교육을 진행하고 있었다. 아트 스파이더의 런던 지부 매니저 거스 가사이드씨는 “보조자가 추측하거나 대신 결정하지 않고 지적 장애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주체적으로 결정해 실행에 옮기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3년간 예술 교육 활동을 함께한 테이트 리버풀이 프로젝트 후에도 젊은 지적 장애인의 고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지속하도록 한 것이 우리가 지향하는 바를 보여주는 사례다”라며 주류 기관, 단체, 예술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참여를 넘어 사회 활동까지의 연결을 강조했다. 내년에 30주년을 맞는 브라이튼 지역에 위치한 카로셀은 신체·시각·청각 장애인을 도와주거나 복합 장애인을 보조하는 역할로 출발했으나 현재는 지적 장애인들이 주축이 되어 이끌어가는 단체로 변화하고 있다고 했다. 이 단체 마크 리처드슨씨 또한 교육 과정에서 장애인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도록 하는 창의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