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지난 28일, 외교부는 제12대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이사장(임기 3년)에 5선 국회의원 출신인 이미경(67) 사단법인 여성의정 공동대표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대외원조 전담기관인 코이카의 정치인 출신 이사장은 처음이다. 이 신임 이사장은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여성평우회 등 시민단체 생활을 거쳐 15~19대 국회의원을 거쳤다. 지난 대선 때는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겸 성평등본부장을 맡았다. 외교부는 “20년 간의 의정활동과 20년 간의 시민사회단체에서 활동한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무상원조 대표기관인 코이카의 발전과 변화를 주도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임명 배경을 밝혔다. 또한 외교부는 “이 신임 이사장은 국제사회의 새로운 개발목표인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에 긴요한 교육, 양성평등, 포용적 경제성장, 평화·제도 등의 개발 이슈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코이카 운영의 효율화 및 민관협력을 통한 개발협력 파트너십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지난 28일, 비영리 공익법인 동그라미재단(前 안철수재단)은 신임 이사장으로 최성호 교수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최성호 이사장은 직업공무원 출신의 산업정책 전문가로 현재 경기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비상임이사를 지냈으며 대한상의 정책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동그라미재단은 2012년 현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의 사재 출연으로 출범하였으며, 2013년 3월 안철수재단에서 동그라미재단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기회와 나눔의 선순환’을 미션으로 하며, 누구나 출발점이 같은 사회, 모두에게 기회가 돌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의 혁신기업을 지원하는 ‘로컬챌린지 프로젝트’, 소외계층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인 ‘세발자전거’, 공간나눔을 위한 ‘오픈챌린지랩’을 진행하고 있으며, 공익 리더십을 양성하는 ‘비영리리더스쿨’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 이사장은 “지난 5년의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자 한다”면서 “동그라미재단이 ‘혁신과 나눔의 균형’을 통해 사회변화의 씨앗을 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요경력 ▲1986년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1987년 제31회 행정고시 합격 ▲1998년 코넬대 경제학 박사 ▲1988~2000년 산업자원부 행정사무관, 서기관 ▲2001년 부산대 경제학과 기금교수 ▲2001년∼현재 경기대 융합교양대학 교수
SK행복나눔재단이 운영하는 SK 대학생 자원봉사단 SUNNY(이하 ‘SUNNY’)가 오는 26일까지 14기 SUNNY리더그룹을 모집한다. SUNNY는 2003년부터 시작한 국내 최대 대학생 자원봉사단이다. 현재 국내 10개 지역 및 중국 6개 지역에서 연간 3000명의 SUNNY가 자원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다. SUNNY 리더그룹은 전국 총 2000명 규모의 SUNNY를 이끌며, 프로그램 활동 전반과 봉사자 간 커뮤니케이션 등을 담당하는 그룹이다. 선발 후에는 1년 간 글로벌 이슈를 파악하고 실천 모델을 발굴하는 사회혁신 프로젝트와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한다. 사회혁신 프로젝트는 2018년 14기 리더그룹부터 새롭게 수행하는 미션으로, 리더그룹 일부가 중국 SUNNY 리더그룹과 교류하며 한・중 공동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할 계획이다. 모집인원은 70명으로, 선발된 대학생들은 별도 교육을 통해 국내・외 사회문제에 대한 지식을 쌓고, 이를 해결할 자원봉사 주제 선정 및 활동 기획 후 사회혁신 프로젝트를 실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SK 사회공헌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고, 우수 활동자에게 해외 파견 기회도 제공하는 등 다양한 혜택을 받는다. 김용갑 SK행복나눔재단 총괄본부장은 “SUNNY는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나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해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면서 “국내・외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에 관심이 높고, 도전 정신과 리더십이 뛰어난 대학생들의 많은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SUNNY 14기 리더그룹은 오는 26일까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모집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며 2018년 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활동이 가능한 대학생으로, 서울・수원경기・인천부천・청주충북・대전충남・대구경북・부산경남・전주전북・광주전남・제주 등 전국에서 지원할 수 있다.
오는 11일과 12일, 서울 올림픽공원 일대에서 청소년 교육 전문 국제 비영리단체 JA 코리아(Junior Achievement Korea, 이사장 강경식 전 경제부총리)는 전국의 고등학생 기업가들이 참여하는 청소년 실물창업대회 ‘코이(COY, JA Company of the Year Competition)’ 를 개최한다. JA코리아는 HSBC 은행의 후원으로 청소년들에게 글로벌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와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총 350여명 70여개 고등학생 창업 동아리를 대상으로 기업 경영 및 창업과 관련한 단계적인 교육을 제공해왔다.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지난 8개월 동안 직접 기업을 조직해, 제품을 생산, 마케팅 계획을 세워 실제로 판매해 보는 등 실제적인 창업의 과정을 경험했다. 대회를 후원하는 정은영 HSBC 행장은 “우리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이번 대회를 통해 많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국내 본선대회에는 전국에서 총 23개팀 120여명의 청소년 기업가들이 참여하여, 기업가와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에게 사업 아이템을 비롯한 기업 운영 성과를 평가 받는다. 특히, 11월 11일 서울 올림픽공원 만남의 광장에서 개최되는 ‘트레이드 페어(Trade Fair)’는 학생들이 직접 개발한 상품과 서비스를 일반 시민들에게도 선보이는 자리다. 또한 이번 대회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2개 팀은 2018년 중국 북경에서 개최되는 아태지역 청소년 실물 창업대회(Asia Pacific JA Company of the Year Competition)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다. 김태준 JA 코리아 회장은 “JA 코리아의 창업교육은 학생들이 직접 기업을 꾸리고 제품을 생산해 보면서 실제 비즈니스 세계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창의력과 리더십, 기업가정신을 발휘하여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개척할 수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동그라미재단이 ‘비영리 모금 콘텐츠 A-Z 워크북’을 출간했습니다. 그동안 더나은미래는 2010년 창간 후 비영리조직(NPO), 기업 사회공헌(CSR), 사회적기업, 기부·나눔 문화 등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행동하는 이들의 모습을 담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이번 책은 더나은미래와 동그라미재단이 비영리 분야 중간관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기획한 프로그램인 ‘비영리 리더 스쿨’ 4기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됐습니다. 비영리 리더 스쿨 4기 수강생들은 총 12주 동안 영리와 비영리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의 강의와 워크숍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소셜기부 플랫폼으로 1년간 15억을 기부한 플랫폼 ‘쉐어앤케어’의 황성진 대표, 네이버의 공익플랫폼 ‘해피빈’ 조성아 팀장, 김효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본부장 등 모금 관련 전문가들의 강의 내용이 Q&A 형태로 수록돼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PDF 파일로 책자를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의 해법, ‘Better Future+CSR Trend Report’에 담겨있습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기업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해법을 제시하는 ‘Better Future+CSR 트렌드 리포트 vol 1.’을 발간합니다. 1년에 4회 분기별로 발간되는 ‘Better Future+CSR 트렌드 리포트’에는 국내 정부 및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동향 및 전망, 글로벌 기업의 CSR 트렌드 및 케이스 스터디가 지속적으로 담길 예정입니다. 오는 10월 중순 처음 발간되는 ‘Better Future+CSR 트렌드 리포트 vol 1.’에는 ▲문재인 정부 ‘제3섹터 인맥지도’ ▲새정부 100대 과제, CSR 향방 ▲20대 국회 CSR 입법 동향 분석 ▲문재인 정부, 사회적가치 평가 심층 분석 ▲공공기관 사회적가치 평가 방법 총정리 ▲글로벌 인덱스로 본 한국 기업의 현주소 ▲파타고니아 릭 리지웨이 지속가능경영 총괄 부사장 심층 인터뷰 및 케이스 스터디 ▲국내외 CSR 뉴스 클리핑 등 심층 분석 콘텐츠가 다뤄집니다. 가치와 혁신을 담은 신(新)경영 전략을 고민하는 기업 관계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바랍니다. Better Future+ CSR Trend Report vol.2 ※문의: csrmember@chosun.com ☞구독 신청하기
▢ 나란히 병상에, 희귀성 질병과 끝없이 싸워야 하는 남매의 고통 17살 효민이와 15살 형민이는 다발성 골연골종이라는 질병을 앓고 있습니다. 수많은 종양이 뼈에 자라는 희귀성 질병입니다. 제대로 된 뼈의 성장을 방해하고 신경을 압박해 어른도 참기 힘든 고통을 유발합니다. 형민이는 12년째, 효민이는 7년째 병마와의 계속 싸워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수술만 32차례. 팔과 다리에는 흉터로 가득하고, 형민이의 뼈에는 종양을 억제하기 위한 나사못이 6개나 박혀 있습니다. 심지어 왼팔은 성장판 파열로 성장이 멎은 상태입니다. 문제는 앞으로 얼마나 더 힘든 시간과 아픈 수술이 남아있을지 모른다는 겁니다. 부모님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으로 남매들의 마음 속 상처는 점점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청소년연맹 ▢ 어려운 가정형편과 부모님에게도 닥쳐온 질병의 시련 다발성 골연골종은 유전성 질환입니다. 남매의 엄마 손요숙씨도 같은 질병인 골부종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대로 된 치료는 받지 못합니다. 아이들의 밀린 병원비와 매번 수백 만원 이상의 수술비 때문입니다. 질병으로 인한 아픔보다는 몹쓸 질병을 물려줬다는 죄책감이 엄마를 더 괴롭게 합니다. 벌써 12년째. 병마와의 싸움이 길어지면서 가장인 홍주희씨도 점점 지쳐갔습니다. 2009년 살던 집과 운영하던 보습학원을 처분하고, 처가의 방 한 칸에서 온 가족이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간 계속된 남매의 간병으로 제대로 된 일을 할 수 없어 배달, 편의점 아르바이트 등 안 해본 일이 없습니다. 어느 날, 아빠는 후종인대 골화증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척추의 후종인대가 뼈처럼 비정상적으로 단단하게 굳어지는 질병입니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손상돼, 걷지도 못하고 다리에
“정말 눈 깜짝 할 사이에 일어난 사고였어요. 아이가 자라면서 점점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데, 아무것도 해줄 수 있는 게 없었어요.” 당시를 떠올리던 엄마는 잠시 눈물을 보였다. 2015년 9월, 아들 알제이(8)는 길거리 음식을 파는 고모에게 놀러갔다가 뜨거운 기름을 뒤집어썼다. 필리핀 마닐라 안티폴로시장엔 튀겨 파는 길거리음식이 흔하다. 날벌레를 피하려다 기름 솥을 건드린 것이었다. 알제이의 오른쪽 뺨과 가슴, 등 뒤쪽으로 온통 기름이 번졌다. 한국에서라면 응급처치를 통해 깨끗한 피부를 이식했겠지만, 알제이가 살고 있는 필리핀에선 화상전문병원이 없다. 스테로이드주사와 연고만 바른 채 1년이 흘렀다. 그 사이, 키는 한 뼘 이상 자랐다. 알제이의 온 몸엔 딱딱하고 울퉁불퉁한 피부조직이 내려앉았다. 1년 사이 화상을 입은 부위는 그대로인 반면, 그렇지 않은 부위는 성장하면서 자세가 비틀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오른뺨과 목으로 연결된 화상부위가 주변 조직을 잡아당기면서, 알제이의 목은 점점 오른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급기야 고개를 들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좌측) 2016년 도움 요청 당시 사진 (우측) 2017년 현재 모습 ⓒ한림화상재단 1년 만인 지난 5월 11일, 키가 자라 슬픈 아이인 ‘알제이’가 한국 땅을 밟았다. 매달 20만원밖에 벌지 못하는 알제이 부모님 대신, ‘키다리 아저씨’로 나선 건 한림화상재단이다. 지난해 “재건수술을 받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팔을 들어올리기도 힘들다”는 알제이의 안타까운 사연을 현지 관계자로부터 들은 한림화상재단은 1년 동안 초청계획을 세웠다. “알제이는 온 몸의 10%나 화상을 입어서, 최소 3번의 수술이 필요하다”는 의사의 소견을 바탕으로, 화상 전문 의료진을 모아 수술계획을 세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