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6일(금)

IPCC “2030년까지 온실가스 43% 감축해야”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도로 제한하려면 세계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19년 대비 2030년까지 43%, 2050년까지는 84% 감축해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앞서 각국이 세운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로는 2100년 안에 지구 온도를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4일 끝난 제56차 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6차 평가보고서(AR6) 제3실무그룹(WG3) 보고서’를 승인했다. IPCC는 기후 변화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정책결정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1988년 공동으로 설립한 국제협의체다. IPCC 보고서는 각국 기후변화 정책에 영향을 미치며 국제 기후변화 협상에서도 주요한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승인의 의미가 크다.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픽사베이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픽사베이

이번 제56차 총회에는 195국, 400여 명의 대표단이 참가했다. 우리나라도 IPCC 주관부처인 기상청과 제3실무그룹 주관기관인 녹색기술센터,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관계부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대표단이 참석했다.

기후 정책 지금대로라면… 21세기 말 지구 온도 3.2도 상승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9년 전 지구의 온실가스 배출 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9년 전 세계 온실가스 순 배출량은 2010년 대비 12%, 1990년 대비 54% 증가했다. 1850~2019년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절반 가까이 되는 42%가 1990~2019년에 배출됐다.

국가 소득에 따라서도 온실가스 배출량 격차가 컸다. 부국이 빈국보다 더 많은 양을 배출했다. 1인당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은 가장 가난한 나라의 경우 1.7t(톤)으로 전 지구 평균인 6.9t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에 거주하는 사람은 연간 19t을 배출했지만 남아시아 사람은 2.6t을 배출하는 데 그쳤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1850~2019년 전 세계 누적 배출량의 2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다음은 유럽(16%), 동아시아(12%) 순이었다.

보고서는 지난해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이전까지 각 국가가 제출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로는 21세기 이내에 지구온난화를 1.5도 이내로 제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19년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는 43%, 2050년까지는 84%를 감소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정부가 당초 목표치로 삼았던 2030년까지 40%를 감축한다는 계획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현재 각국이 제출한 2030 NDC에서 온실가스를 19~26Gt을 더 감축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현재까지 시행된 정책이 지속한다고 가정했을 때, 2100년 지구 온도는 3.2도까지 증가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식생활 등 개인행동 변화 따라야

보고서는 에너지, 도시, 수송 등 각 분야에서 기후변화를 완화할 방법도 제시했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저탄소 에너지 자원을 확산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해야 하며, 도시 환경에서도 탄소 흡수와 저장량 향상 같은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수송 부문의 경우 육상에서는 전기차 도입이 가장 큰 배출 저감 잠재량을 가지고 있고, 장거리 수송인 해운·항공 부문에서는 바이오연료나 저배출 수소, 암모니아, 합성연료 같은 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요구하는 ‘수요 관리’ 부문이 새롭게 추가됐다. 지속가능한 건강한 식이 요법, 냉·난방 방법, 재생에너지 활용 등이 주요 내용이다. 보고서는 수요 측면에서의 변화만으로도 2050년까지 40~70%의 온실가스 배출을 추가로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2030년까지 지구온난화를 1.5도 또는 2도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3~6배에 이르는 금액이 더 투자돼야 한다. 다만 보고서는 기후 위험에 대한 부적절한 평가, 자본과 투자 수요 간의 불일치, 자국 편향, 위험도 인식 차이, 제한적인 제도적 역량 등이 감축 분야 투자를 가로막는 요소라고 설명했다.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를 1~10% 줄이는 데 기여하고, 공공재정과 거시경제적 성과 증진,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경제적 취약 그룹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최근 등장한 다양한 형태의 국제협약과 초국가적 협력은 기후변화 완화를 전 지구적으로 확산, 촉진한다고 평가했다. 기상청은 “IPCC 평가보고서 결과를 기반으로 앞으로 기후변화 협상에서 각국이 이전에 수립한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강화하고, 보다 야심 찬 2035년도 신규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는 국제사회 요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는 2022년을 탄소중립 이행 원년으로 삼아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전환, 산업, 수송, 건물, 농축산, 폐기물 등 사회 전 부문의 감축 정책을 담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지은 더나은미래 기자 bloomy@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