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7일(수)

베풀기 위한 ‘봉사’보다 지역 주민과 ‘교감’ 더 중요해

라온아띠 봉사단 인터뷰
단순한 영어 교육보다 꿈과 희망 전달하는 봉사단 역할 필요
현장에서 느낀 고민 귀국해서도 잊지 말아야

지난 5월 22일 늦은 저녁, 6개월간 국내외 현장에서 해외봉사단으로 활동하고 돌아온 5명의 ‘라온아띠’ 단원을 만났다.

이들이 해외봉사단에 지원한 이유는 모두 달랐다. 파견된 시기도, 지역도 달랐다. 그러나 ‘보다 의미 있는 자원봉사란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깊이 고민하는 모습은 5명 모두 똑같이 닮아 있었다.

KB-YMCA가 아시아로 파견한‘라온아띠’청년 봉사단원들은‘선의가 항상 선행이 될 수 없다’며 해외 청년봉사자들의 책임을 강조했다.
KB-YMCA가 아시아로 파견한‘라온아띠’청년 봉사단원들은‘선의가 항상 선행이 될 수 없다’며 해외 청년봉사자들의 책임을 강조했다.

2010년 4기 ‘라온아띠’ 단원으로 스리랑카를 다녀온 정동민씨가 가장 먼저 입을 열었다.

“현장에서 중요한 건 ‘봉사’가 아니라 ‘교류’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전 ‘라온아띠’ 단체 티에 태극기가 없는 게 너무 좋았어요. 주민들이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며 궁금해하고 말을 걸면서, 서로 소통이 가능해지더라고요. 주민들이 태극기를 ‘너와 나는 다르다’라는 걸 표현하는 장벽처럼 느꼈데요. 작은 배려 하나로 교류가 가능해졌습니다.”

2기 박선하씨는 ‘라온아띠’ 단원으로 활동한 6개월이 청년 해외봉사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됐다고 한다. “현장에서 단기봉사단의 잘못된 봉사로 주민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주민들에게 벽화가 당장 필요한 것이 아닌데, 단기봉사단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 벽화를 그릴 수 있는 학교를 찾고, 기간을 협의하고, 환영인사까지 준비하는 불필요한 절차가 계속되고 있었어요. 반면, 라온아띠는 봉사단은 도움을 주러 간 것이 아니라 주민들의 삶을 통해 철저히 배우는 입장임을 끊임없이 교육합니다. 주민들도 ‘한국에서 온 아이들이 다양한 세상을 보고 경험할 수 있게 돕겠다’는 마음으로 저희를 대하시고요. 저희는 그 분들을 도움이 필요한 ‘수혜자’로 부르지 않고, ‘엄마’, ‘아빠’라고 불렀습니다.”

이들은 귀국 후 “주변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다”고 입을 모았다. 6기 정동수씨는 “국내에서 한 달 동안 지역 풀뿌리 단체 실무자들의 일을 도우면서 공동체를 위한 활동이 정말 필요하고 가치 있는 일이란 걸 깨달았어요. 저희 아버지가 ‘한살림’이란 생활협동조합에 친환경 먹을거리를 생산, 직거래하는 일을 맡아 하시는데요. 그전까진 아버지가 어떤 일을 하시는지 잘 몰랐어요. 귀국 후 생협이 무엇이고, 지역 공동체를 위한 활동이 무엇인지 아버지와 함께 비전을 나누고 소통하게 됐습니다.”

3기 이영림씨는 필리핀에서 귀국한 뒤, 격주로 국제개발 NGO 실무자들과 모여 해외봉사의 대안을 찾는 소모임을 2년 동안 지속하고 있다. “해외 봉사 경험이 있는 청년들이 후배 단원들을 위해, 또 더 나은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찾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느꼈거든요. 청년 해외봉사의 주체는 바로 ‘청년’이니까요.”

이들이 던지는 메시지는 동일했다. 선의가 반드시 선행이 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나의 목적을 위해 누군가가 수단이 되고 있진 않은지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5기 이지윤씨는 “마음껏 사랑하고 충분히 사랑받고 돌아오라”는 따뜻한 조언과 함께 “현장에서 했던 고민을 한국에 돌아와서도 계속하는 것이 청년봉사단의 권리이자 의무”라고 덧붙였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