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금)

“금융·보험사 기후공시, 구체적이지 않고 신뢰하기 어려워”

금융·보험사들의 기후공시가 체계적이지 않은 탓에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3년 두 번째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금융회사의 ESG경영 및 기후공시 현황 분석’을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자료집은 김 의원이 올해 7월 민간 금융·보험회사를 대상으로 ESG경영과 기후공시의 세부적인 사항을 질의해 회신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됐다.

은행연합회는 15일 "향후 3년간 10조원 규모의 ‘은행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조사 결과,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과 특수은행(농협)은 ESG경영과 기후공시에 대체로 적극적이지만, 지방은행과 외국계 시중은행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4개 주요 은행 가운데 TCFD, 탈석탄금융선언, 적도원칙(EP) 등 ESG 관련 국제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는 없었다. 반면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3곳 중 기후·환경 국제협약에 가입한 곳은 한곳도 없었다. 보험회사의 경우 하나 이상의 국제협약에 가입한 곳은 조사대상 41개사 중 15개사(36.6%)에 불과했다.

기후공시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 77개사 중 스코프1과 스코프2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결과를 공개한 곳은 37개사였다. 스코프1을 살펴보면, 지난해 말 기준 은행권에서만 연간 7000~1만t가량의 온실가스가 나온 것으로 집계됐다. 보험사 중에는 삼성생명보험의 배출량이 지난해 기준 2만9694t으로 가장 많았다.

스코프3 배출량을 공시한다고 밝힌 금융사는 27곳, 이 중에서도 제3자 검증을 마친 회사는 절반에 못미치는 13곳에 불과했다. 이러한 탓에 그 수치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의원은 “금융기관에서 가장 유의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스코프3”라며 “운용자산의 규모가 큰 금융회사라면 자산포트폴리오 배출량을 포함한 스코프3 배출량을 산출해 운용전략에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나아가 배출량뿐 아니라 배출량 산정 범위, 산정 방식 또는 준거 기준 등도 함께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TCFD 권고안을 기후공시의 준거 기준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무공시와는 달리 ESG 분야는 계량화가 어려운 정보가 많으며, 계량된 정보라 하더라도 일관성을 확보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지난 2021년 5월 정부는 TCFD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공식 선언했는데, TCFD 권고안은 금융부문에 대한 보충지침을 통해 탄소배출량에 대한 공시사항도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어 금융회사의 기후공시에 최적화된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의 중대성과 시급성을 고려해 금융당국이 TCFD 권고안에 대한 공시이행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김수연 기자 yeon@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