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4일(일)

[제2회 미래지식 포럼] ④”좋은 선택하려면? 회피 말고 경험하라”

팬데믹과 기후위기로 혼란한 시대에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하고 어디로 나아가야 할까. 코로나 이후 사회의 흐름을 진단하고 삶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제2회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이 17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됐다. 현대차정몽구재단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공동 주최한 이번 포럼에서는 ‘선택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라는 주제로 여섯 가지의 주제 강연이 차례로 진행됐다. 이날 ‘선택’을 주제로 인지심리학·수학·서양철학·국어국문학·진화심리학·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전하는 지식을 차례로 공유한다.

17일 ‘제2회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 1부 마지막 순서로 ‘질의 응답 및 토론 세션’이 마련됐다. 이날 ‘선택’이라는 키워드로 강연한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신지영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 김상현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가 패널로 참여했다. 최기환 아나운서와 김시원 더나은미래 편집장의 공동 진행 아래 강연에 관한 질문, 강연에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를 나눴다.

제2회 미래지식포럼
17일 서울 강서구에서 진행된 ‘제2회 현대차정몽구재단 미래지식 포럼’ 1부 토론에 참석한 (왼쪽부터)최기환 아나운서, 김경일 교수, 신지영 교수, 김상현 교수, 김시원 편집장. /현대차정몽구재단 제공

김경일 교수에게는 ‘좋은 선택’에 대한 추가 질문이 쏟아졌다. 김시원 편집장이 첫 질문을 소개했다. “‘나쁜 선택을 하기보다는 선택을 유보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어서 ‘선택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선택을 미루는 건 무책임한 일일까요?”

김경일 교수는 “‘나쁜 선택’을 했다며 선택을 후회하는 경우는 두 가지”라고 했다. 하나는 의견이 없는데 있는 것처럼 거짓으로 말하며 선택한 경우, 또 하나는 정신적·육체적으로 지친 상태에서 선택을 내리는 경우다. 김 교수는 “의견이 있고 건강한 상태에서 선택을 내리는 것이 좋고, 그렇지 않으면 ‘의견이 없다’고 이야기하거나 선택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선택을 유보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을 때까지 스스로 선택의 시기를 늦추는 것”이라며 ‘주체성을 잃지 않는 선택의 자세’를 강조했다.

이어 선택 후 마음가짐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선택에는 항상 책임이 따른다’는 말이 압박으로 느껴질 때가 있다”며 “선택의 결과와 상관없이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을 물었다. 김 교수는 ‘비교하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사람은 ‘비교’할 때 후회한다”며 “남과 나를 견주지 말고, 자신의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목표를 세우기 전에 나는 어떤 소망을 가진 사람인지 진지하게 고민해보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제2회 미래지식포럼
17일 열린 ‘제2회 미래지식 포럼’ 1부 토론에서 김경일(가운데) 교수와 신지영(오른쪽)가 이야기 나누고 있다. /현대차정몽구재단 제공

이날 강연에서 ‘차별적인 언어를 바꿔가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한 신지영 교수에게는 언어와 사회에 대한 질문이 도착했다. 첫 질문은 “사람마다 ‘언어 감수성’이 다른 이유”였다. 언어 감수성이란, 일상 언어에 담긴 차별·불평등·반인권·비민주적인 요소를 가려내는 민감성을 말한다. 신 교수는 “사람마다 민감하게 생각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사람들은 자신과 관련이 있는 것에는 민감하고, 그렇지 않은 것에는 둔감한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어 “말이란, 상대에게 들려주기 위해 하는 것이므로 타인의 감수성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며 “차별 없는 세상을 더 빨리 만드는 방법 중 하나는 차별적인 언어를 바꿔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평소 언어생활에 대한 고민도 있었다. “신조어에도 차별적인 단어가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안 쓰면 시대에 뒤떨어지는 것 같고, 재밌기도 해서 자꾸 쓰게 되는데요. 어떻게 하면 이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다 같이 차별적인 신조어를 적게 쓸 수 있을까요?”

신 교수는 “신조어를 왜 배우려고 할까? 부터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조어가 재밌다고 생각하는 건 사실은 그 신조어가 그리 차별적이지 않다고,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일 수 있다”며 “오히려 차별과 혐오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시대에 뒤떨어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제2회 미래지식포럼
17일 서울 강서구에서 진행된 ‘제2회 미래지식 포럼’ 1부 토론에서 김상현 교수가 시청자 사전 질문에 답하고 있다. /현대차정몽구재단 제공

‘기계의 선택, 믿어도 될까?’를 주제로 강연한 김상현 교수에게는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됐다. 기계의 선택을 ‘선택’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인간은 어떤 힘을 길러야 기계보다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다. 김상현 교수는 이에 대해 정답을 말하지 않았다. 대신 비트겐슈타인과 앨런 튜링의 두 가지 상반된 견해를 소개하면서 “기계의 동작원리를 잘 이해하고, ‘기계는 정말 생각을 할까’ 같은 질문에 대한 통찰을 키워가는 것이 책임 있는 기계 사용에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김시원 편집장은 “교수님들 말씀을 종합해보면 결론은 잘못된 선택이든 좋은 선택이든, 선택을 많이 해본 사람이 훨씬 더 좋은 선택을 하게 된다는 것 같다”며 “선택을 통해 배우면서 다음에 더 좋은 선택을 하는 게 중요하겠다”고 말했다.

최지은 더나은미래 기자 bloomy@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