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분만체계 세우니, 방글라데시 산모 3배 더 병원서 출산 [세계 보건의 날]

KOICA와 협력해 167억 투입

국제아동권리 NGO 세이브더칠드런이 방글라데시 북부 랑푸르주에서 진행 중인 모자보건 사업의 성과를 세계 보건의 날(4월 7일)을 맞아 공개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함께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총 167억원 규모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은 조혼율과 가정 분만율이 높은 지역의 산모·신생아 건강 개선을 목표로 한다.

한 산모가 세이브더칠드런의 이동 진료소에서 조산사의 진료를 받고 있다. /세이브더칠드런

세이브더칠드런은 랑푸르와 랄모니핫 지역 40개 보건시설을 대상으로 보건 인력 확충, 시설 보수, 의료 물품 지원 등 보건 시스템 전반을 강화했다. 특히 응급 출산 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교통수단인 릭샤를 활용한 여성 친화적 후송 시스템도 도입했다.

그 결과, 연중무휴 24시간 분만이 가능한 시설이 마련되면서 병원 분만 건수가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었고, 산전 관리를 최소 4회 받은 임산부도 2배 증가했다. 지금까지 총 504건의 응급 후송이 이뤄졌고, 이 중 97명의 임산부가 직접적인 의료 혜택을 받았다.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인식 개선 활동도 병행됐다. 약 4만7000명을 대상으로 보건시설 이용의 필요성을 알리는 교육이 진행됐으며, 이동 진료소와 출산 예정일 알리기 캠페인을 통해 시설 기반 산전관리를 유도했다. 조혼과 청소년 임신의 위험성을 알리는 예방 캠페인도 전개됐다.

수혜자인 아이샤(20·가명) 씨는 “앞선 두 번의 가정 출산은 합병증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업 효과성에 대한 학술 연구도 병행된다. 세이브더칠드런은 다카 소재 국제설사성질환연구센터(ICDDRB),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사업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방글라데시의 보건 정책 개선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지혜 세이브더칠드런 국제사업1팀 팀장은 “방글라데시는 공공 모자보건 시스템이 미흡한 상황”이라며 “한국의 보건 역량과 세이브더칠드런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보건 체계를 실질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