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입학하기까지 절차 복잡… 사회적 편견도 여전해

미혼모 대안학교 1년… 성과와 한계 대안학교 가려면 다니던 학교 추천서까지 제출 자퇴 종용하는 일선 학교… 미혼모의 미래 흔들어 “지난 1년을 돌이켜 보면, 우리 사회가 정말 큰 변화를 이끌어 냈구나 하는 생각에 감사합니다. 그렇지만 학생들이 미혼모 대안학교에 입학하는 첫 과정에서부터 여러

여느 교실처럼 수업… 책상에 앉은 얼굴 ‘꿈 많은 10대’

미혼모 대안학교 가보니 일반교과 공부와 부모·적성 교육 병행… 과정 이수 후엔 다니던 학교 복학 가능 “좋은 게 없기는 뭐가 없어? 여기에서 배우다가 학교로 돌아갈 수 있는 게 난 부럽기만 한데….” 둘러 앉은 네 명 중, 나이가 제일 많아 보이는 소녀가

[알립니다] 한국대표 5개 비영리 단체 ‘착한 여름’ 캠페인 시작 외

한국대표 5개 비영리 단체 ‘착한 여름’ 캠페인 시작 월드비전, 기아대책, 한국컴패션, 굿네이버스, 재단법인 바보의 나눔이 하나의 캠페인을 위해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국내에서는 최초의 사례인 이번 캠페인은 착한카드와 함께하는 ‘착한 여름 캠페인’입니다. 휴가와 방학으로 신나는 여름이지만우리 주위에는 여름을 힘겹게 보내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여름재해 취약 가구_”무너진 지붕 볼 때마다 무너지는 마음… 하늘은 알고 있을까요?”

작년 추석 폭우로 지붕 내려앉은 취약계층 조모씨 “생계 잇기도 벅찬 생활… 올 장마는 어떻게 날지 막막” 좁은 골목·부실한 배수시설… 의연금 수혜자 86%<전국재해구호협회 상반기 발표>가 저소득층 지난 7월 5일 방문한 인천시 숭의동 조모(52)씨의 집 한쪽 방 천장은 하늘이 보이도록 뻥 뚫려

[Cover story] 소녀도 엄마도 네팔의 희망을 읽습니다

네팔 ‘서비스포피스 여성文解학교’ “돈만 주면 나눔? 그건 진짜 나눔이 아니다” 수도 카트만두서 12시간 14년 내전의 땅 ‘살라히 ‘아동센터·문해학교 건립 작은 도서관에선 아이부터 노인까지 공부 희망을 밝히는 건 ‘교육’ “UN이 설정한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힘을 써야 할

[고대권의 Écrire<에크리>] 남을 돕는 일이 쉬운 일이라고요?

지난주에 어떤 사람을 만났습니다. 비영리단체의 활동가인데, 자신과 배우자의 월급을 합해봐야 차상위계층 수준이라고 합니다. 남편에게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보육료를 받자고 얘기하자 사회복지 일을 하는 남편이 ‘그런 건 우리보다 더 어려운 사람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며 반대했다고 합니다. 1년 전에 만났던 사람은 자신의 직장인 기업에서

“프레임 속 여성 家長은 편견과 싸우는 女戰士”

한부모 여성가장 희망을 담아낸 조선희 작가 아름다운재단 희망가게 100호점 기념 홀로 아이 키우는 여성 애환 담아 “인생은 스스로 개척하라 말하던 어머니 이번 작업 시작한 계기였죠” 사진 속의 그들은 대부분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틀어 올린 머리 위에 예닐곱 개의 가위를 꽂고

“부서간 충돌도 음악처럼 소통으로 해결해요”

중소기업중앙회 사업 ‘즐거운 예술, 신나는 일터’ 솜피 사내 밴드 Let’s “자, 시작하겠습니다. 부담 갖지 마시고 편안하게 하세요.” 지난 20일 오후 6시 분당의 한 스튜디오. 긴장과 기대를 품은 표정의 아저씨와 아줌마가 밴드 연주를 시작했다. 자우림밴드의 ‘매직카펫라이드’다. 마법의 융단을 타고 우리 둘만의

정부 지원 없는 579종 질환까지… 의료 사각지대 해소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희귀난치성질환 지원사업 지난 20일 규빈이는 두 돌을 맞았다. 엄마 김선미씨는 여느 아기들처럼 예쁜 옷도 사 주고 싶고, 맛있는 음식들도 가득 해 두 번째 생일을 축하해 주고 싶지만, 그 대신 ‘골수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해야 한다. 규빈이는

“나눔 노하우 공유하고 협력의 끈 만들어요”

한국NPO공동회의 2011 소통과 나눔 콘퍼런스 개최 ‘위드’ 급식사업·’글로벌케어’ 식수 개선… 단체 특징살려 전문적 사업 펼쳐… 우수 사업의 수행과정·방법 공개 1990년대 초반 몽골에서는 학교 급식이 사라졌다. 공산주의체제 아래 시행됐던 일괄 급식 방식이 시장경제로 돌아서면서 바뀌었다고 한다. 이후 몽골 아동들의 영양 상태는

굿네이버스와 함께하는 아동권리교육②

학대 83%가 가정에서… 이웃의 관심이 아이를 지킵니다 1. 우리 아이가 알아야 할 UN아동권리 2.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아동학대 예방 3. 건강한 몸과 마음 스스로 지키기 2010년 한 해 동안 전국 45개 아동보호 전문기관을 통해 아동학대로 신고된 건수는 총 9199건, 이 중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