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나무들의 치유공간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다

하남시 ‘나무고아원’ 르포 퇴출 위기 가로수용 버즘나무 700그루 옮겨온 게 계기 개원 후 전국서 기증 이어져… 2만 2000그루 공원으로 체험 학습, 가족 단위 방문객 증가… 시민 쉼터로 거듭 “살아난 게 기적인 녀석입니다.” 염규진 팀장(50·하남시 공원녹지과 공원관리팀)이 어른 키 두 배가

“우리에게 나무란 치료제이자 소통 도구”

나무의 매력에 빠진 사람들 “어느 날 딸아이 침대가 우연히 눈에 들어왔어요. 오래돼서 삐걱거렸죠. 집에 있는 도구 몇 개를 이용해 ‘리폼(reform)’ 해봤는데, 딸이 정말 좋아하는 거예요. 그때 이상한 기분이 들었어요. 잃었던 삶의 의욕이 다시 솟구치는 느낌 같은 거였죠.” 우상경(50) ‘상상공방’ 대표의

[박란희의 작은 이야기] 삼성서울병원이 모금을 한다면?

[박란희의 작은 이야기]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하도 ‘한국식 병원 문화’를 꼬집는 기사가 많다 보니 자연스레 미국 병원 시절이 떠올랐습니다. 저는 첫째딸을 한국에서, 둘째딸을 미국에서 낳았습니다. 한국 산부인과에선 9개월 내내 사람 많은 병원 복도에서 진료 대기를 해야 했고, 출산 당일이 공휴일인

[Cover Story] 나무로 뚝딱뚝딱… 문화를 DIY

[Cover story] 木工, 문화가 되다 나만의 이야기를 담아… 名品이 된 폐목재 나무라는 자연친화적인 소재로 나만의 물건 만든다는 특별함 기업·학교 등에서 관심 증가 친환경가구 제작, 공원 조성 등 폐목재 이용한 사업·활동도 활발 ‘목공(木工)’ 열풍이 심상치 않다. 특별한 취미를 찾는 직장인, 제2의

[희망 허브] 그들의 눈과 발이 되어 꿈 이루게 돕습니다

[장애인 스포츠 조력자 ‘가이드러너’] 수영부터 축구까지 다양한 스포츠… 장애인의 경기 참여 돕는 사람들 국내대학 최초 창립 ‘스키 가이드단’… 선수 대신 앞서서 진로 확보해줘 중증장애인 위한 보치아 종목… 공 무게·장비 조절 등 보조 필수적 ‘나이스, 나이스 샷!’ 녹색 잔디 위로 청명한

[더나은미래 논단] 강력한 나눔의 부메랑, 프로보노

경기도의 한 사회적기업 사무실. 브랜드 개발을 위한 직원들의 브레인스토밍으로 열기가 뜨겁다. “우리 기업을 생각하면 무슨 단어가 떠오르죠?” “고객들이 우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요?”.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사회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곳이 브랜드 아이덴티티(Identity)를 구축하기 위해 체계적인 내부 워크숍을 여는

[청세담 비영리 명사 특강] ① “비영리조직 재무 건전성, 아직 갈 길 멀어”

[청세담 비영리 명사 특강] ①박두준 한국가이드스타 사무총장 비영리는 사람이다. 한 분야에서 짧게는 수년, 길게는 십수년에 이르기까지 버텨온 이들이 상상을 현실로, 회의를 기대로 바꿔왔다.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이 함께하는 공익 분야 저널리스트 및 소셜에디터(Social Editor) 양성 아카데미 ‘청년, 세상을 담다(청세담)’ 예비기자들의 공익 분야

불법 어업으로 세계 35억명 생존권이 무너진다

환경정의재단 사무총장 스티브 트렌트 “매년 불법 포획되는 어류는 2600만t 값비싼 어종은 90% 이상 멸종 위기” ‘예비 불법 어업국’이었던 한국 신속한 대응으로 불법 어업국 해제 지난 3월엔 한국 사무소 개소까지 “전 세계 약 35억 인구가 전적으로 바다에 의존해서 살아간다. 이들에게 바다는

매장으로 돌아간 옷가지… 3만명 난민에게 귀한 생필품으로

유니클로, 엔젤 리사이클 캠페인 기부한 의류, 16가지 종류로 선별 남수단 등 25개국 난민캠프에 전달 “소비자가 재활용 의미 되새겼으면” “6월이 ‘환경의 달’이라는 거 아셨어요?” 서은지(24·서울 양천구)씨에게 옷을 기부하게 된 경위를 묻자, 그녀는 대뜸 ‘환경’ 이야기부터 꺼냈다. 따뜻한 커피를 주문하면서 가방 속에서

“시니어 사업 뛰어든 지 1년 만에… 공공기관 납품하고 해외 러브콜도 받아요”

유한킴벌리, 소기업 활성화 지원사업 커피추출기와 텀블러 합친 ‘이피쿱’ 약초를 티백으로 ‘이풀약초협동조합’ 50가지 디자인 돋보기 ‘이플루비’ 시니어 대상으로 제품 만든 기업들 “컨설팅·자금 지원이 성장 계기 됐죠” “국내 시장도 진출해보지 못한 작은 기업이 어떻게 해외로 나갈 수 있었던 거죠?” “제품 개발에 필요한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