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불황 속 대형마트 3社… 사회공헌 극과 극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사회공헌 진단 이마트영업이익 감소에도 기부금 증가공격적으로 사회책임경영 확대 “대중 시선 차가운 유통업계, ‘진정성’으로 접근해야” 홈플러스사회공헌 본부 대외협력본부로 흡수활동 축소 우려… “조직 개편일 뿐” 롯데마트제자리걸음 중인 사회공헌활동그룹 총수 의지 따라 확대될까 최근 마트업계 2위 홈플러스가 사회공헌 조직을 축소 개편했다. 사회공헌팀과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가치… 경제적 인센티브로 돌려받았다

SK그룹의 사회성과 인센티브 프로젝트 1년, 뚜껑 열어보니 SK그룹 최태원 회장의 ‘사회성과 인센티브(Social Progress Credit)’ 프로젝트가 1년 만에 베일을 드러냈다. ‘사회성과 인센티브’란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에 비례해 경제적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으로, 최태원 회장이 지난 10년간 사회적기업을 정리하며 옥중에서 펴낸 책 ‘새로운

올 하반기부터 ‘사회적 경제’ 배운다

서울 초·중·고 교과목으로 도입 올해 2학기부터 서울시내 초·중·고등학생은 학교에서 ‘사회적경제’ 교과목을 배울 수 있다. 이 수업에서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특성과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소셜벤처, 공정무역 등을 가르친다. 지난 18일 서울시교육청은 초·고교는 이달 내에, 중학교는 8월 말까지 사회적경제 교육 자료와 교과서를 보급한다고

“의로운 행동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길” 3대 걸친 뿌리 깊은 신념

業을 살린 LG 사회공헌… 1930년대부터 이어진 의인 돕기선로에서 시각장애인 구한 최형수씨… LG그룹 특별채용독립유공자 임우철 선생 자택, LG하우시스 개·보수 “사회는 물이고, 기업은 그 안의 물고기다.”(구인회 LG그룹 창업회장) 많은 전문가들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잘하는 대표기업이 어디인가’라고 물으면, 대다수가 손꼽는 기업이 바로 LG그룹이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버릴까? 기부할까? 한 번 더 생각해 주세요

“아니 이게 무슨 냄새야?” 매장을 관리하던 매니저 A씨는 냄새의 출처를 확인하던 중 ‘헉’ 소리를 감추지 못했다. 냄새의 원인은 작은 도시락통. 뚜껑을 열자 파랗게 곰팡이가 핀 썩은 밥이 모습을 드러냈다. 2013년, 한 시민이 ‘아름다운가게’에 전달한 ‘기증품’이었다. 과연 기증 문화는 3년 전과

‘찰떡궁합’으로 나눔 한 길…권용석·노지향 부부

연극으로 치유 돕다… 노지향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 공간-해(解)’ 대표 “도울 때 가장 즐겁다는 남편 권용석 변호사… 모금·이메일까지 직접 챙겨” 1997년부터 소년원 아이들·탈북자 등과 함께 ‘치유 연극’ 활동 참가자들, 자신의 이야기 대본 삼아 연기… 자존감 회복 도와 2009년엔 변호사 남편과 ㈔행복공장 설립해

교육 콘텐츠 만들고, 시청자와 연탄봉사까지…유튜버 사회공헌

  유튜브스타 사회공헌 활동 눈길     고전 소설 ‘홍길동전’을 각색해 조선과 고려의 역사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한 ‘도길동의 고려여행’은 1인 창작자 도티(본명 나희선·30)가 게임 ‘마인크래프트’를 통해 직접 만든 어린이 교육 동영상이다. ‘갓게임(GodGame·플레이어가 게임 내 세계를 창조하고 통제할 수

기부자 1만명이 만든 기적… 국내 최초 어린이 재활병원 문열다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재활병원 백경학 푸르메재단 상임이사 설립 예산만 440억원 가수 션, ‘1만원의 기적’ 등 캠페인 통해 시민 참여 물꼬 터… 게임회사 넥슨은 200억원 기부 어린이 재활, 인력 많이 들고 건강보험 수가는 낮아 연간 40억원 적자 예상… 이젠 정부가 나서야  ‘기적(奇跡)’. 모두가

게임으로 뜬 남자, 공익에 눈뜨다…대도서관 인터뷰

120만 유튜브 구독자 확보한 ‘1인 창작자’ 대도서관 인터뷰  1인 콘텐츠 창작자 ‘퓨디파이(PewDiePie)’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튜브 구독자를 가졌다. 4300만명이 그가 유튜브에 올리는 게임 관련 콘텐츠를 본다. 지난 2013년 그는 1000만 구독자 달성을 기념해 아프리카 르완다에 상수시설을 짓는 기부 프로젝트를

책 한권→소파→고급 시계… 한 청년의 꿈을 위한 물물교환

한국판 ‘빨간 클립 프로젝트’종이클립 하나로 집 한 채 교환한 캐나다 청년 사례 벤치마킹비영리 청년문화기획단체 ‘꿈톡’청년들 소통 공간 만들고파  빨간 클립 하나를 집 한 채로 교환할 수 있을까. 10년 전, 영화 같은 일이 실제로 벌어졌다. 캐나다 청년 카일 맥도널드(당시 26세)는 ‘빨간색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