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먼저 지원부터, 심사는 나중입니다”… 복지 사각지대를 돌보는 든든한 말 한마디

경기도 무한돌봄사업 현장을 가다 기존 지원 대상 벗어난 위기 가정 도와 도내 복지기관망 중심축 역할 톡톡히 해 “먼저 지원부터, 심사는 나중입니다”… 복지 사각지대를 돌보는 든든한 말 한마디 “눈앞이 캄캄했습니다.” 이수혁(가명·47·경기도 광주)씨는 지난달 기억을 떠올릴 때마다 가슴이 턱 막힌다. 지난 4월

美 버거킹, 협동조합으로 ‘甲乙갈등’ 풀다

美 대형 프랜차이즈 협동조합 운영 사례 협동조합이 체인점 열거나 식자재 구입 비용 줄고 매출 올라 가맹점 수 늘자 본사도 로열티 수입 증가해 모두 윈윈 韓, 로열티보다 재료 공급 마진서 수익 저작권 인식 개선되면 적용 가능할 수도 지난 11일, 공정거래위원회는 ‘갑(甲)

[몬드라곤大 경영대학장 벨로키 인터뷰] “110개 협동조합 모여 30兆 8만 조합원의 힘입니다”

연매출 30조원의 스페인 7위 기업 ‘몬드라곤’은 협동조합의 신화처럼 여겨지고 있다. 산업·금융·유통·교육·연구R&D·서비스 부문에서 8만 조합원이 일하는 이 거대 협동조합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는 곳은 바로 1997년 설립된 ‘몬드라곤대학’이다. 지난 19일, 새정치민주연합 신계륜 사회적경제정책협의회 위원장과 새누리당 유승민 사회적경제정책특별위원장 초청으로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진행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평등권 보장 강조하더니… 장애인 투표는 어떻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애인 투표권 행사 “보조인의 도움을 받는 장애인 유권자는 보조인과 함께 기표대에 들어가 투표를 해야 하는데, 6월 지방선거에 사용될 신형 기표대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조인이 함께 기표대에 들어가는 것이 어렵다.” 지난 16일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6·4 전국 동시 지방선거

재난시 민관 합동 컨트롤 타워 시급하다

세월호 민간 자원봉사 긴급 점검 “대학병원에서 실종자 가족들을 위한 심리 상담을 이미 진행하고 있는데, 검증되지 않은 기관들이 찾아와 상담 치료를 하려 해 걱정됐다. 도움을 주려는 마음은 알지만 이들을 섣불리 검증하거나 통제할 수 없어 오히려 혼선을 빚었다.”(H기관 사무국장) “현장에 불필요한 물품들이

“유전무죄 무전유죄?” 약자 위해 법률가들이 나섰다

공익법 지원기관 현황 정보 채무자·저소득층·장애인·난민 등 법률소외계층 돕는 공익법 기관들 다양한 절차 이용해 법률지원 도와 사회적 약자 권리 구제하고 공익법 제도·인식개선 활동에도 참여 국내에서 공익법 운동이 시작되고, 공익 변호사가 등장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아직까지 공익법 서비스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에

국고 지원·인력 확충 문제… 올해 안에 해결해야 희망이 보인다

51개 아동단체 공동 성명서 발표 지난 22일 굿네이버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세이브더칠드런을 비롯한 51개 아동단체가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지자체로 이양했던 아동학대 예방 및 보호 업무를 국가로 환수하고, 부족한 인프라를 시급히 확충해야 한다는 것. 이 단체들은 성명서에서 “지역에 따라 아동 한 명당 학대

[아동학대 예방정책, 이대로 괜찮은가] ④ 금고 바닥난 지자체… “100년 지나도 아동학대 문제 해결 안돼”

아동학대 예방체계 이대로 괜찮은가 (4)아동학대 예산 실태 및 지자체 전수조사 충청남도와 경상남도. 서울시 면적의 14배, 17배에 달하는 이 지역의 아동학대 문제는 각각 아동보호전문기관 2곳이 관할한다. 그러나 지원받는 예산은 천지 차이다. 경남은 11억4570만원인 반면, 충남은 4억8550만원에 불과하다. 보조받은 예산이 6억 이상

시들어가는 농촌… 청년들이 다시 살린다

도시 청년 3인의 농촌 재발견 ‘쌀 멤버십’ ‘농촌 체험’ 등 기획해 농가 경제성과 활력 높여 130명 농민과 계약 맺어 농산물 재배… 숨겨진 이야기 담아 도시에 전달 마늘농가·귤 농부 등 소농에겐 판로를 청년에겐 농촌에 대한 관심 높여 농촌이 시들어간다. 지난 10년간

사회적기업 1000개 시대… 大學도 사회적경제에 눈 뜨나

사회적기업 관련 학과 개설 현황 사회혁신가 양성소인 아쇼카(Ashoka)에서는 ‘사회혁신 교육’을 주도하는 대학에 ‘체인지메이커 캠퍼스(Changemaker Campus)’라는 지위를 부여한다. 브라운대, 듀크대, 코넬대 등 미국 24개 대학이 선정됐다. 1993년부터 하버드경영대학원 교수진은 800개 이상 사회적기업 사례 연구를 진행했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혁신 비즈니스(Business for Social

사회 구석에 관심 돌리니 길이 열렸다

청년, 사회적기업에 뛰어들다 국제 구호서 소외된 남미의 빈곤에 관심 이면지 재활용 노트 선물·수공예품 판매 예술가와 대중을 서로 잇는 다리 역할 페스티벌·소액 예술품 마켓 개최 비빔밥 홍보 위해 세계 돌며 시식행사 장차 서구 식습관 문제 해결이 목표 “청년들아, ‘재미없게’ 돈 벌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