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R포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20 CSR의 미래” 온라인 포럼 개최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 모임인 CSR포럼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2020 CSR의 미래’라는 주제로 온라인 포럼을 오는 26일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사회복지 연구기관, 대기업·다국적 기업의 현직 전문가들이 모여 코로나19 사태가 기업의 사회적책임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이날 연사로는 김시원 더나은미래 편집장, 박미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배진희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부장 등이 나선다. 이어지는 좌담회에서는 연사들과 함께 문형구 CSR포럼 이사장과 김도영 CSR포럼 대표가 참여해 각 영역 전문가들이 진단하고 바라보는 CSR의 변화와 방향에 대해 토의할 예정이다. CSR포럼 관계자는 “이번 포럼을 통해 기업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서 전개되는 CSR 전략 방향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도영 CSR포럼 대표는 “코로나19 사태는 사회 시스템을 바꾸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 문제에 대한 재정의와 해결 모델에 대한 새로운 고민이 시작됐다”면서 “혼란 상황을 함께 고민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참가 신청은 CSR포럼 홈페이지(www.csrforum.org)를 통해 가능하며, 사전 신청자에 한해 온라인 포럼을 시청할 수 있는 접속경로(URL)를 개별 송부할 예정이다.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더나은미래-한국비영리학회-CSR포럼, ‘사회공헌 플랫폼 구축’ 위한 MOU 체결

조선일보 공익섹션 더나은미래가 한국비영리학회, CSR포럼과 손잡고 사회적경제 확산을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11일 더나은미래는 서울 중구 조선교육문화미디어 본사에서 ‘사회공헌 상호협력 협약식’을 열고 사회공헌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금교돈 조선교육문화미디어 대표, 양용희 한국비영리학회장, 문형구 CSR포럼 이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내 사회공헌과 사회책임 분야에 대한 연구와 사회공헌 교육사업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사회공헌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사회적경제 확산을 위한 플랫폼 구축 ▲기업 사회공헌 교육사업 ▲사회공헌·사회책임 분야 연구보고서 발간 ▲사회적경제 연구자료 간행물 사업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Cover Story] 각개전투서 사회공헌 동맹으로…’착한 성과’ 위해 머리 맞대고 공부합니다

[Cover Story] 기업 CSR 담당자들의 자조모임 ‘CSR포럼’  한 달에 한 번 기업 사회공헌 분야를 담당하는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팀장들이 서울 모처의 강의실로 모여든다. 삼성·SK·현대 등 대기업부터 이제 막 CSR에 뛰어든 중소기업 담당자들까지 모두 한공간에 둘러앉아 CSR을 공부한다. 열심히 듣고, 받아 적고, 토론한 뒤 해산한다. 흔한 뒤풀이도 없는 심심한 모임이지만 6년째 이어지고 있다. CSR 담당자들의 자조모임 ‘CSR포럼(Forum)’ 얘기다. 지난 2014년 1월 설립된 CSR포럼은 각지에 흩어져 있던 기업 CSR 담당자들이 삼삼오오 모여 자발적으로 꾸린 모임이다. ‘어떻게 하면 사회공헌을 전문성 있게 제대로 할 수 있을까’라는 순수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회원들은 매월 넷째 주 금요일에 열리는 정기 포럼에 참여해 CSR 관련 주제로 발표하고 의견을 나눈다. 현재 350여 개 기업, 540여 명이 회원으로 가입됐을 정도로 성장했다. 김도영 CSR포럼 대표는 “사회공헌에 대한 고민을 넘어 기업이 우리 사회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임”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2일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대표 멤버 6인을 만났다. ◇기업 간 CSR 경쟁 무의미… 노하우 아낌없이 공유 ―CSR 담당자들이 모여서 CSR을 공부한다는 것 자체가 신선하다. 어떻게 시작된 모임인가? 김도영=원래 사회공헌팀은 기업 내부에서 주목받는 팀이 아니었다. 실무자들은 각개전투식으로 사회공헌이란 분야를 개척해야 했고, 그러다 보니 서로의 경험이나 지식을 공유하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래서 담당자들에게 제안했다. ‘기업 안에서 외롭게 사회공헌하지 말고 밖에 모여서 같이 즐겁게 해보자’고. 첫 모임에 무려 60명이 모였다. 김상두 CSR스페셜리스트(한국암웨이)

CSR포럼, 기업과 국내외청년 잇는 국제워크숍 개최

  CSR포럼은 기업과 한국 대학생, 외국 청년이 함께 사회혁신에 대해 고민하는 국제 워크숍을 28일 서울 용산 Y밸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CSR포럼은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들의 모임으로 약 330개 기업 570여 명의 회원으로 구성됐다. 이번 워크숍에는 국제 청년의 날 컨퍼런스(IYD 2019 in Korea)를 위해 아시아 24개국에서 방한한 130명의 외국 청년들이 참여한다. 한국 대학생은 60명, 기업 CSR담당자도 40명이 참석한다. 이들은 사회혁신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례를 발표하고 그룹별로 국가간 청년들과 기업의 협력 방안에 대해 토의한다. 사례 발표는 김도영 CSR포럼 대표의 ‘한국 기업의 CSR 트랜드’를 시작으로, SEN학생클럽·EBS청년미래 대학생기자단의 ‘사회혁신 프로젝트 사례’, 외국 청년 사례 등 총 9개가 소개된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마르코 카미야 유엔해비타트 도시경제 재정국장, 한국비영리학회 이사장인 문형구 고려대 교수도 함께한다. 김도영 CSR포럼 대표는 “최근 사회문제는 고도화, 복잡화 되고 있어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협력하는 다자간협력을 통한 사회가치 창출로 소셜임펙트를 구현해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CSR포럼은 아시아 국가 청년들이 기업과 함께 사회 문제 해결할 수 있는 협력 네트워크를 활성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사회공헌 선순환 구조 만든다”…바인그룹, 사회적가치위원회 발족

바인그룹은 사회공헌프로그램을 체계화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가치위원회를 19일 발족했다. 바인그룹 사회적가치위원회는 김영철 회장을 중심으로 그룹내 사회공헌팀과 양용희 비영리학회장, 김도영 CSR포럼 대표 등으로 구성됐다. 사회적가치위원회는 바인그룹의 대표적인 청소년 사회공헌프로그램인 ‘위캔두(WE CAN DO)’를 더욱 확산시키고 그룹 내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 밖에 지역사회와 연계한 자원봉사, 해외봉사 등을 통한 ‘사회공헌의 선순환구조’ 구축에도 힘쓸 계획이다. 바인그룹은 새로운 사회적 가치 창출로 그룹의 사회공헌프로그램에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바인그룹 사회적가치위원회는 사내 복지프로그램을 주요 이슈로 선정, 구성원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개념을 구체화해 사회적가치 실현으로 이끌어내기로 했다.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기업 임직원 자원봉사, 성공 포인트는?

기업 임직원 자원봉사, 이렇게 성공하라!    2016 기업 자원봉사의 미래 컨퍼런스    “기업 자원봉사, 정말 필요할까요?” “봉사활동 끝나면 뒷정리도 안 하고 가시더군요.” “사장이 감동받아야 자원봉사 예산도 딸 수 있습니다.” 지난달 25일 서울 을지로 페럼타워에서 열린 ‘2016 기업 자원봉사의 미래’ 콘퍼런스 현장. 240여 명이 가득 메운 이날 행사장에선 임직원 자원봉사에 대한 다양한 고민과 대안들이 쏟아져 나왔다. 1부 순서에서 ‘2016 자원봉사 트렌드 분석’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맡은 조상미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양적 성장은 충분히 했으니 이젠 질적 성장이 필요한 때”라며 “기업 자원봉사 관련 장·단기 평가 지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수 기업 사례로는 이세형 한미글로벌(따뜻한동행) 부장이 20년간 구축한 자원봉사 시스템의 노하우를 공유했다. 한미글로벌은 인트라넷을 통해 실시간 자원봉사처 정보를 제공하고, 수요처와 임직원이 직접 봉사 프로그램을 기획한다. 김지영 LG전자 CSR팀 차장은 사내 식당에서 반찬 메뉴를 하나 뺀 금액을 적립하는 ‘기부 메뉴’를 예로 들며 “연간 80개의 자원봉사 프로젝트의 비결은 강제성 없는 자발성에 있다”고 설명했다. 구자영 한국수자원공사 부장은 기업의 역량을 활용한 자원봉사로 개도국 지하수 오염 및 수질 검사 키트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2부 순서는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 400여 명의 네트워크 모임인 ‘CSR포럼’과 함께 기획, 임직원 자원봉사의 실패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좌장을 맡은 김도영 CSR포럼 대표(SK브로드밴드 팀장)와 함께 장걸 삼성디스플레이 차장, 김상두 한국암웨이 팀장, 박선일 세스넷 팀장, 이기백 서울시자원봉사센터 부장 등 영역별 전문가들이 ‘기업 자원봉사 미래 토크’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