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섬유 덜 입고 새 옷 덜 사는 것도 ‘윤리적 패션’입니다”

윤리적 패션 토크 콘서트 ‘어떻게 입을 것인가’ 현장을 가다 ‘윤리적 패션’은 2000년대 초반 환경문제에 관심이 있던 디자이너들이 가죽 대신 식물성 섬유를 사용한 패션을 선보이고 업사이클링 제품을 내놓으며 등장했다. 오늘날에는 세계 패션계에서 가장 ‘핫’한 콘셉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대형 브랜드들이 하나 둘 윤리적 패션에 동참하면서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떠올랐다. 이런 흐름엔 이유가 있다. 패션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UN기후변화협약(UNFCCC)에 따르면, 세계 패션 산업이 매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은 12억 톤(t)에 이른다. 화물 운송을 포함한 항공·해운업의 배출량을 넘어서는 양이다. 이에 지난 1월 아디다스, 퓨마, 에이치앤앰(H&M)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 대표를 비롯한 38명의 패션업계 종사자들이 독일의 본에 모여 지속 가능한 패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파리 기후 협약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소비자들도 ‘윤리적 패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지난 9월 19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윤리적 패션을 주제로 한 토크 콘서트가 열렸다.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하고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허브(SEF)가 주관한 ‘2018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 포럼’의 프로그램 일부로 진행된 이날 토크 콘서트의 주제는 ‘어떻게 입을 것인가’.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 박세진 패션칼럼니스트, 장윤수·홍석우 복싴남녀(패션 팟캐스트) 진행자, 정욱재 노리플라이(인디밴드) 기타리스트 등이 무대에 올랐다. ◇“환경과 공생하는 인간 ‘호모 심비우스’가 되라” 정욱재의 노래로 토크 콘서트의 막이 올랐다. 정욱재는 2009년부터 ‘튠’이란 이름으로 활동하며 음악으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는 음악가. 자작곡 ‘만국기’ ‘고려인’ ‘끝없이 소비하라’ 등 세 곡을 불러

“소셜투자, 평범한 사람들도 할 수 있어요”

소셜투자 계모임 ‘디모스’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투자하는 것을 ‘소셜투자(사회적 투자·social investing)’라 한다. 임팩트투자사나 대기업 등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소셜투자를 ‘평범한 사람들’이 모여서 하는 새로운 움직임이 시작됐다. 소셜투자 계모임 ‘해보는 사람들, 디모스’ 이야기다. 디모스는 지난 2016년 11월, 민주적이고 일상적인 집회를 고민하던 <해보지, 뭐> 프로젝트에서 만난 열두명이 만나 꾸렸다. 각자가 투자하고 싶은 소셜 프로젝트와 기업, 공간 등에 투자하는 모임이다. 디모스의 정기모임이 열린 지난 9월 15일, 구성원 6명(성산, 행크, A, 콩, 원더지, 혬)을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공유오피스 ‘로프’에서 만났다.  디모스는 한 사람당 5만원씩 6개월간 계를 부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에 투자한다. 투자처는 ‘만장일치’로 결정하며, 어느 의견도 소외되지 않도록 개방적으로 듣고 공감한다. 서로 의견이 다르면 조율하되, 반대 의견은 반드시 대안과 함께 제시해야 한다. 환경단체 활동가, 마케팅 담당자, 웹툰플랫폼 서비스기획자, 소셜벤처 투자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3개월간 논의를 거쳐 정한 규칙이다. 멤버 ‘성산’은 “첫 모임 때 구성원 모두가 규칙을 새로 만들자는 공감이 있었다”며 “기존의 시스템을 신뢰할 수 없어 포스트잇을 사용해 대화하는 등 새로운 방식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속도가 느린 만장일치 방식에도 여태껏 갈등은 없었다고. 멤버 ‘행크’는 “구성원간 신뢰가 있었고 ‘무조건 해야 한다’며 힘을 쏟지도 않았다”면서 “내 생각과 반대여도 선한 방향으로 가고 있구나 생각했다”고 말했다. 투자처는 다섯 가지 원칙에 따라 선정한다. ▲소수성 고려 ▲새로운 시도 ▲성 평등 ▲가치관과 지향점 ▲일상의 시도 등이 고려사항이다. 구성원들이 다섯 가지 원칙에

청년 세상을 담다 ‘공익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2개 부문 4개 팀 수상

‘2018 청세담 공익 미디어 콘텐츠&공익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이 12일 오후 광화문 조선일보 사옥 내 스페이스 라온에서 열렸다. 현대해상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공동 주최한 이번 공모전은 공익 콘텐츠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청년, 세상을 담다’(청세담) 5주년을 맞아 청세담 수강생과 동문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사회적 가치를 담은 공익 콘텐츠 기획안들은 현직 기자들의 심사를 거쳐 총 4개의 수상팀이 가려졌다. 시상은 미디어 콘텐츠 부문 3개 팀과 프로그램 부문 1개 팀으로 나눠 진행됐다. ‘사회에1조’ 팀은 공익 이슈 분석과 함께 전문가의 해결방안을 담은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아이디를 제출해 우수상으로 선정, 상금 100만원과 콘텐츠제작 지원금 100만원을 받았다. ‘미디어눈’ 팀은 공익 관련 도서 리뷰를 영상 콘텐츠화하는 아이디어로 우수상에 선정됐으며, 상금 100만원과 콘텐츠제작 지원금 50만원을 받았다. ‘가챠바우챠’ 팀은 사회서비스 바우처 부정수급에 관한 기획기사를 제안해 우수상을 받았다. 가챠바우챠 팀에게는 상금 100만원이 수여됐다. 프로그램 부문 우수상에 선정된 ‘마음은우승’ 팀은 현대해상과 함께 청소년 공익 유튜버를 양성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상금은 100만원이다. 이번 공모전에 선정된 콘텐츠 아이디어는 오는 12월까지 최종 결과물로 제작될 예정이다. 이날 시상식에 참석한 이동형 더나은미래 이사는 “많은 참가자들이 심사에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의미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면서 “사회적 가치를 위해 노력하는 청년들을 응원한다”고 말했다.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제는 세상이 교실”…교육 분야 ‘비영리스타트업’ 한자리에

2018 제2회 비영리스타트업 네트워킹 포럼 “교육환경은 이제 학교에서 ‘세상’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학생은 ‘학습자’로, 교사는 ‘동반자’로, 교육에서의 평가는 ‘자기증명’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스쿨21(School 21)’, ‘미네르바스쿨(Minerva School)’, ‘꿈이룸학교’ 등 최근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서울시NPO지원센터 대강당. 뉴미디어-예술 대안학교인 ‘꿈이룸학교’ 정두수 기획국장의 말에 70여명 청중의 눈과 귀가 모였다. 이날 열린 행사는 ‘2018 제2회 비영리스타트업 네트워킹 포럼’. 새롭고 대안적인 교육을 만드는 교육 관련 ‘비영리스타트업’의 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비영리스타트업은 빠르고 유연한 스타트업의 장점을 겸비하면서, 사회적 가치와 임팩트를 추구하는 조직을 일컫는다. 포럼은 서울시NPO지원센터가 주최·주관했다. 행사는 ‘우리는 모두 교사이며, 전 우주가 교실이다’란 표제 아래, 교육 관련 비영리 스타트업 4곳 실무자들의 발표로 꾸려졌다. 꿈이룸학교 정두수 기획국장을 비롯해 대안교육플랫폼 ‘불광대학교’를 운영하는 ‘협동조합가치공유연구소’ 이두영 소장, 스페인 몬드라곤대학의 협동조합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몬드라곤팀아카데미코리아(MTA KOREA)’ 원종호 팀코치, ‘지순협-대안대학’을 운영하는 ‘지식순환협동조합’ 강정석 사무국장 등이다. 비영리사단법인 ‘열린옷장’ 양석원 사외이사가 진행을 맡았다.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물결을 이끌어가고 있는 네곳을 소개한다. 첫 발표자인 정두수 꿈이룸학교 기획국장은 ‘교육의 뉴 노멀(New Normal)’을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아젠다를 제시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으로 교육계의 많은 직업이 사라지고 새로운 역량이 요구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며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 교육자와 Z세대(2004년 이후 출생한 세대) 학습자가 등장하면서, 이제 지식을 얻는 방법이 바뀌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메이커교육, PBL(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주는 문제기반학습법), 블렌디드 러닝(온라인과 오프라인

[알립니다] 청세담 ‘공익미디어 콘텐츠 & 공익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자 발표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이 주최한 ‘공익 미디어 콘텐츠&공익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최종 수상자를 발표합니다. 이번 공모전은 2014년 시작된 소셜에디터(공익 전문 저널리스트) 양성 프로그램 ‘청년, 세상을 담다(이하 청세담)’의 일환으로, 청세담 동문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됐습니다. 지난 7월 3일(화)부터 9월 2일(일)까지 공모전을 진행했고, 1차 내부 심사와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총 4개팀을 우수팀으로 선정했습니다. 부문별 수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시상식은 다음달 12일 오후 3시 TV조선 라온홀에서 열립니다. <우수상> 1. 콘텐츠 부문 수상자-사회에 1조 팀 (상금 100만원/ 콘텐츠제작 지원금 100만원)-미디어눈 팀 (상금 100만원/ 콘텐츠제작 지원금 50만원)-가챠바우챠 팀 (상금 100만원) 2. 프로그램 부문 수상자-마음은 우승 팀 (상금 100만원) <공모전 시상식 및 OT>일자: 2018년 10월 12일(금) 15:00~18:00장소: TV조선 라온홀 ※ 문의: chungsedam@gmail.com, 070-4616-5510

“생각 없이 내뱉은 말도 폭력이에요”

[청세담 인터뷰] 사이버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 ‘바른말풍선’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보호팀 ‘나는 앞으로도 사이버 폭력을 절대 하지 않겠다!’ ‘사이버 폭력을 당하는 친구를 보면 도와주겠다.’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스스로넷) 사무실 문 앞에는 한 글자씩 또박또박 써내려간 다짐들이 빼곡히 붙어 있다. 사이버 언어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인 ‘바른말풍선’을 들은 초등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글이다. 바른말풍선은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가 현대해상의 후원을 받아 푸른나무청예단과 3년째 진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초등학생들의 사이버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올바른 미디어사용 및 언어습관을 기르는 게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이런 말도 폭력이라고요?” 교실로 침투한 사이버 언어폭력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는 청소년미디어교육, 청소년미디어문화, 청소년 미디어역기능대응 등을 진행하는 청소년 미디어 특성화 시설이다. 지난달 6일, 용산에 있는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에서 바른말풍선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보호팀 남기숙 팀장과 김은혜·장혜민 상담사를 만났다. 이들은 초등학생들이 인터넷 방송에서 접한 선정적인 유행어를 교실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학년의 경우 단체채팅방을 통해 괴롭힘과 따돌림이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남기숙 팀장은 “학교 측에서 ‘바른말풍선’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경우도 많다”면서 “상반기에만 100개가 넘는 학급에서 교육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심각한 건 초등학생들이 ‘사이버 언어폭력’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사이버 언어폭력이 무엇인지, 자신이 쓰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자신이 행동이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인지 조차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남기숙 팀장은 “교육 대상을 초등학교 3~6학년으로 정한 이유도 이 때문”이라며 “인지발달이 이뤄지는 연령층이라 예방교육의 효과가 높다”고 설명했다. ◇무조건 ‘금지’하기보단 ‘공감’이 먼저 교육 내용은 ‘인지’ ‘정서’ ‘행동’이란 세 가지 영역에 초점이 맞춰진다. 폭력이 무엇인지

더나은미래-현대해상, ‘청세담’ 공익 미디어 콘텐츠 & 공익프로그램 공모전 개최

“공익을 담은 콘텐츠와 사회공헌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은 7월 3일부터 9월 2일까지 ‘공익 미디어 콘텐츠&공익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한다. 이번 공모전은 2014년부터 시작된 소셜에디터(공익 전문 저널리스트) 양성 프로그램 ‘청년, 세상을 담다(이하 청세담)’의 일환이다. 청세담은 더나은미래와 현대해상이 국내 최초로 영리와 비영리 분야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춘 ‘소셜에디터’를 양성하기 위해 마련한 과정이다. 지금까지 청세담을 통해 졸업생 270여 명을 배출, 언론사를 포함한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에 ‘공익 DNA’를 퍼뜨렸다. 공모 주제는 ‘사회문제 해결 및 사회혁신’과 관련된 내용으로, 분야는 ▲공익 미디어 콘텐츠 ▲공익 프로그램 총 2가지다. 단, 공익 미디어 콘텐츠는 기사·영상·카드뉴스 등 온라인으로 배포할 수 있어야 한다. 콘텐츠 세부 내용으로는 더나은미래 콘텐츠 또는 공익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는 주제 또는 현대해상의 사회공헌 활동과 연계할 수 있는 주제, 공익 분야와 관련된 자유 주제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공모 자격은 청세담 수료생·수강생 개인 또는 청세담 수료생·수강생 1인을 포함한 4인 이내 팀이다. 또한 참가자 1인 또는 1팀 당 최대 3개 주제까지 공모할 수 있다(예시. 더나은미래 연계 주제 1, 현대해상 사회공헌 활동 연계 주제 1, 자유 주제 1).  공모 분야에 관계 없이 최대 5팀(또는 개인)을 선발하며, 팀(또는 개인) 당 최소 100만원에서 최대 250만원까지 콘텐츠 제작 지원금 또는 프로그램 아이디어 상금이 주어진다. 선정된 콘텐츠 아이디어는 10월 15일부터 12월 2일까지 제작해 12월 7일에 최종 결과물로 제출해야 한다. 심사 기준은 ▲주제의

청세담 9기 입학식…“공익과 저널리즘이 일으키는 시너지를 기대합니다”

“6개월 동안 열심히 활동하며 공익과 저널리즘이 만나 시너지를 일으키는 방법을 고민하고 배우겠습니다.”(이주연·24) “착한 것들의 경쟁력을 믿습니다. 이 착한 경쟁력을 발굴해 이야기로 풀어내는 힘을 청세담에서 키우고 싶습니다.” (송민기·24) 지난 11일 오후 광화문 ‘스페이스 라온’에서 ‘청년, 세상을 담다(이하 청세담)’ 9기 입학식이 열렸다. 2014년 처음 시작된 청세담은 현대해상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이하 더나은미래)가 영리와 비영리 분야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춘 소셜에디터(공익 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지금까지 청년 200여 명이 청세담을 거쳐 언론사를 포함해 다양한 공익 분야로 진출했다. 청세담 9기는 약 3대1의 경쟁률을 뚫고, 기자 지망생을 비롯해 공익 분야 활동가, 사회적기업가 등 제3 섹터에서 미래를 개척하고자 하는 청년 31명이 선발됐다. 이들은 6개월 동안 저널리즘 및 뉴미디어 강의, 청년 혁신가와의 만남, 비영리 활동가의 토론식 수업과 더나은미래 기자로부터 취재 실습 및 기사 작성 개별 멘토링을 받게 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변화하는 미디어 흐름에 발맞춰 영상부문팀을 별도로 구성해 멘토링을 진행한다. 현대해상 CCO 박윤정 상무는 “앞으로 여러분이 희망하는 공익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청세담 프로그램이 도움되길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청세담 프로그램의 파트너기관인 서울사회적경제네트워크의 김정열 이사장도 자리에 참석해 “세상의 여러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조선일보 교육·문화·공익법인 CS M&E의 양근만 대표는 “청세담에서 청년기자로 활동하며, 비영리를 비롯해 본인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격려했다.

[알립니다] 청년, 세상을 담다 9기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현대해상,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서울사회적경제네트워크가 함께하는 공익기자 양성 프로젝트 ‘청년 세상을 담다(청세담)’ 9기의 서류전형 합격을 축하합니다.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면접은 4월27일(금) 13시30분부터, 7~8인 1조로 30분간 진행될 예정입니다. 합격자 및 면접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면접 시작 10분 전까지 도착해주세요.) 면접시간: 13:30~14:00NO 이 름 생년월일1 김슬* 9105252 박청* 8811083 송무* 9001014 송준* 9105075 이해* 9008226 이희* 9003167 조성* 890623 면접시간: 14:00~14:30NO 이 름 생년월일1 고지* 9109272 김은* 9201213 김태* 9201024 김현* 9108155 김혜* 9206026 이세* 9108197 홍다* 911218 면접시간: 14:30~15:00NO 이 름 생년월일1 공태* 9208302 김나* 9209243 김용* 9302194 이경* 9302175 진정* 9207016 최혜* 9209027 홍지* 921022 면접시간: 15:00~15:30NO 이 름 생년월일1 강석* 9309032 권혜* 9310233 김덕* 9310124 류선* 9312075 성소* 9303046 이민* 9306267 이진* 930228 면접시간: 15:30~16:00NO 이 름 생년월일1 김남* 9402212 김예* 9406153 김윤* 9320124 김하* 9402135 나영* 9401256 안희* 9405207 오지* 9402168 윤성* 940217 면접시간: 16:00~16:30NO 이 름 생년월일1 고재* 9410202 김수* 9501013 김지* 9501084 송민* 9412215 이승* 9411016 이주* 9409087 임정* 940726 면접시간: 16:30~17:00NO 이 름 생년월일1 김민* 9505032 김보* 9504193 김예* 9505114 김윤* 9502285 박지* 9506056 소연* 9507307 오지* 9506228 전유* 950901 면접시간: 17:00~17:30NO 이 름 생년월일1 김명* 9509232 김현* 9512183 김효* 9511174 정재* 9604185 조연* 9512156 최태* 9601047 허지* 960321 면접시간: 17:30~18:00NO 이 름 생년월일1 강연*

[모집공고] 소셜에디터스쿨 ‘청년, 세상을 담다’ 9기 수강생

현대해상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서울사회적경제네트워크는 국내 최초 공익 분야의 저널리스트 및 소셜에디터를 양성하는 아카데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동·청소년·장애·노인 등 복지 사각지대는 물론 기업 사회공헌, CSR, NPO,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영리와 비영리를 넘나드는 이슈를 바탕으로 인터뷰, 르포, 심층 기획 기사 등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 강의가 진행됩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기자들이 직접 실전 멘토링을 통해 9기생들을 만납니다.   소셜 에디터(Social Editor)란? : 아동·장애·노인·환경 등 복지 이슈를 발굴하고, 비영리단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소셜벤처 등 비영리섹터 및 CSR 전반의 소식을 전하는 공익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가 교육 대상 -(필수) 매주 금요일 참석이 가능한 20세이상 30세이하인 대한민국 청(소)년 -공익분야에 관심이 있는 예비 저널리스트 또는 언론인 -사회적기업, NGO·NPO, 소셜벤처, 기업 사회공헌 부서 등에 관심이 있는 자 교육 구성 교육 기간 : 2018년 5월 11일~11월 2일 매주 금요일(25회 과정) / 오후 2~6시 *강의 및 맞춤식 멘토링 일정은 해당 시간을 원칙으로 하되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교육 혜택 -현대해상,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대표 공동명의 수료증 지급(일정 횟수 출석했을 시) -우수 기사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지면 또는 온라인 게재 -우수 참가자 수상(상장 및 시상금) 교육비 : 무료 참가신청 밎 발표 -접수 마감: 2018년 4월 15일(일) -모집 절차: 서류전형-> 면접-> 최종합격 ○ 서류전형발표: 4월 23일(월)<예정> ○ 면접일: 4월 27일(금)/ 서울 중구 소재<예정> ○ 최종합격발표: 5월 2일(수) 더나은미래 홈페이지 및 개별 연락 <예정>   -지원하러 가기 :  https://goo.gl/CtZ32K –문의 : chungsedam@gmail.com

실버 택배원 4인의 하루, 지하철 노인택배원 동행취재

서울시 지하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2,4,5호선) 한 모퉁이로 쇼핑백과 상자 꾸러미를 손에 든 할아버지들이 삼삼오오 모여들었다. 각자 가져온 종이 가방과 상자를 지역별로 나눠 어깨에 멨다. 이들은 모두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만 65세 이상 노인이다. 일명 ‘지하철 노인 택배원’들은 지하철로 간단한 서류, 백화점 상품 등 4~5kg 미만의 경량 물품을 배달한다. 이들의 하루는 어떨까. 지난달 초, 청년기자는 4명의 노인 택배원을 만났다.   ◇지하철 노인택배원들의 24시    김상식(가명)씨는 상자 서너 개가 담긴 접이식 수레를 옆에 두고, 엘리베이터를 기다렸다. 엘리베이터가 금방 오지 않자 높이가 허리춤까지 올라오는 수레를 들고 계단을 내려갔다. 택배일을 한 지 5개월이 됐다는 김씨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서둘러야 한다”면서 “꾸물거렸다간 지하철 환승 시간을 못 맞춘다”고 말했다. 하나에 1~2kg 무게의 상자를 배달해 김씨가 받는 비용은 건당 3000~5000원. “손수레를 써도 상자가 무겁고 백화점이 멀어서 하루에 3, 4개 밖에 못 해.” 하루에 4건 정도 배달을 한 뒤, 수수료를 업체에 떼주고 김씨가 받는 돈은 만원 남짓에 불과하다. 같은 회사에 속한 70대 정필두(가명)씨와 서민구(가명)씨는 일을 시작한 지 벌써 10년이 넘었다. 둘은 주로 서울에 있는 백화점으로 배달을 간다. 서울 내에서 건당 배송료는 2000원이지만 수수료 30%를 제하면 이들이 받는 돈은 무게와 상관없이 건당 1400원이다. 매일 14건 정도를 배달하는 정씨는 아침 10시부터 8시간 동안 배달을 한다. “정년퇴직하고 10년 전부터 이 일을 시작했어. 그때는 지금만큼 지하철 택배 업체가 많지 않았는데, 요즘은 업체 간

10번째 개헌, 시민의 ‘열망’을 담다

시민과 함께 개헌의 장을 만드는 시민단체 ‘바꿈’   “이번 개헌만큼은 국민 모두가 의견을 개진하고 반영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지난 11월 11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민주주의 UP! 2017 정치페스티벌’ 사회자 김제동은 말했다. 547개 시민·노동단체로 구성된 ‘정치개혁 공동행동’과 ‘국민주도 헌법개정 전국 네트워크’는 광장 곳곳에 환경, 먹거리, 성 평등, 국민소환제, 장애인 참정권 등 주제별로 40여개의 부스를 설치했다. 부스마다 전하는 이야기는 달랐지만, 개헌을 위한 자유로운 논의가 여기저기서 이어졌다.  우리나라엔 역대 9번의 개헌이 있었지만, 시민의 손으로 직접 만든 헌법은 없었다. 현재 10번째 개헌에 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건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를 통해서다. 하지만 이를 시민이 보다 쉽게 알고 자신의 의견을 담을 수 있게 하는 노력은 부족하다. 시민이 함께 하는 개헌의 장을 만드는 시민단체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이하 바꿈)과 ‘참여연대’ 등 여러 시민단체가 직접 거리에 나와 시민들을 만나는 이유다.     ◇시민이 헌법과 친해질 수 있도록   “개헌이라는 주제를 시민들의 삶 속으로 끌어오고 싶었어요.” (홍명근 바꿈 간사) 바꿈은 시민들이 헌법을 좀더 가깝게 느끼도록 노력하는 시민단체다. 2015년 7월 창립해 2020년까지 딱 5년 동안 진행되는 프로젝트 단체다. 백승헌 전(前) 민변 회장과 박순성 동국대 교수(북한학)가 이사장으로 있다. 바꿈은 개헌의 큰 틀안에서 나오는 사회 이슈를 시민들로 하여금 직접 논의할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하고 있다. 홍명근 간사는 “헌법은 어렵지만 꾸준히 의견을 나누다 보면 새로운 방향과 내용이 나올 수 있다”며 “헌법에 대해 자유롭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