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나은미래·재단법인 숲과나눔 ‘풀씨 아카데미’ 2기 모집

공익 활동가 양성 무료 프로그램 12주 과정…20~30세 30명 선발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환경 분야 공익 활동가 양성 과정인 ‘풀씨 아카데미’의 2기 입학생을 모집한다. 풀씨 아카데미는 환경문제에 관심 있는 청년들을 공익 활동가로 양성하기 위해 마련한 12주 과정의 무료 교육 프로그램이다. 커리큘럼은 ▲국내 환경 운동의 역사와 현황 ▲최근 환경 이슈와 트렌드 ▲프로젝트 기획안 작성 ▲크라우드펀딩 활용법 등 공익 활동가가 알아야 할 이론과 실무에 관한 수업으로 구성된다. 이어 참가자들이 3~5명씩 팀을 꾸려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진행해보는 시간을 준다. 팀별 최대 300만원의 프로젝트 운영비가 지원되며, 이와 별도로 우수 팀에는 상금 90만~150만원이 수여된다. 모집 기간은 오는 8월 18일까지이며 더나은미래 홈페이지(futurechosun.com)와 숲과나눔 홈페이지(koreashe.org)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총 30명을 선발한다. <‘풀씨 아카데미’ 2기 모집> ▲지원 대상: 환경 분야 공익 활동에 관심 있는 20~30세 청년 ▲교육 기간: 9월 20일~12월 6일(매주 금요일 오후 2~6시) ▲교육 장소: 재단법인 숲과나눔 강당(서울 서초구) ▲모집 기간: 8월 18일까지 ▲지원 방법: 더나은미래 홈페이지, 숲과나눔 홈페이지 ▲1차 합격자 발표: 9월 4일(예정) ▲문의: 070-4616-5510(더나은미래 사업팀)   [더나은미래 csmedia@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알립니다]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재단법인 숲과나눔 ‘풀씨아카데미’ 2기 입학생 모집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환경 분야 공익 활동가 양성과정인 ‘풀씨 아카데미’의 2기 입학생을 모집한다. 아카데미는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은 청년을 공익 활동가로 양성하기 위해 마련된 12주 과정의 무료 교육 프로그램이다. 공익활동가가 되어 환경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환경 관련 다양한 이슈들을 공부하고 직접 캠페인 프로젝트를 기획·진행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목표다. 모집 대상은 환경 분야 공익활동에 관심 있는 20~30세 청년이다.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총 30명을 선발한다. 교육 커리큘럼은 ▲국내 환경운동의 역사와 현황 ▲최근 환경 이슈와 트렌드 등에 대한 환경 관련 수업과 ▲프로젝트 기획안 작성 ▲크라우드펀딩 활용법 등 공익 활동가가 알아야 할 실무 수업 등으로 구성된다. 또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수강생들이 팀을 꾸려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해보는 시간도 주어진다. 팀별 최대 300만원의 프로젝트 운영비가 지원되며, 이와 별도로 우수 팀에는 90만~15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모집 기간은 오는 8월 18일까지다.   ‘풀씨 아카데미’ 2기 입학생 모집 ■지원 대상: 환경 분야 공익활동에 관심 있는 20~30세 청년 ■교육 일정: 9월 20일~12월 6일(매주 금요일 오후 2~6시) ■교육 장소: 서울 서초구 남부순환로2606 금정빌딩 6층 재단법인 숲과나눔 강당 ■모집 기간: 7월 15일~8월 18일 ■지원 방법: ☞ ‘풀씨 아카데미 지원하기’ (클릭) ■1차 합격자 발표: 9월 4일(예정) ■면접일: 9월 6일(예정) ■문의: 070-4616-5510(조선일보 더나은미래)  /  02-6318-9004(재단법인 숲과나눔)       [더나은미래 csmedia@chosun.com] – Copyrights

환경·비영리 영역 키울 ‘풀씨’가 되겠습니다…’풀씨아카데미’ 1기 수료식

‘풀씨아카데미’ 1기 피칭데이·수료식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재단법인 숲과나눔 회의실에서 ‘풀씨아카데미’ 1기 수강생들의 프로젝트 피칭데이(발표회)와 수료식이 열렸다. 풀씨아카데미는 조선일보 더나은미래와 숲과나눔이 함께 운영하는 환경분야 공익활동가 양성 프로그램이다. 환경 문제와 공익 활동에 관심 있는 청년들을 발굴해 환경·공익 분야에서 활약할 미래 인재로 키워내는 것이 프로그램의 목표다. 지난해 12월 시작된 풀씨아카데미 1기에는 환경·에너지 관련 전공 학생, 환경 관련 협동조합·사회적기업 재직자, 시민단체 활동가 등 다채로운 이력을 가진 청년 21명이 선발됐다. 수강생들은 지난 3개월 동안 환경운동의 역사적 흐름부터 환경 캠페인 기획과 운영방법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의 강의를 들으며 환경 분야 활동가로서의 기초 지식을  쌓았다. 한 팀당 2~3명씩 총 7개 팀으로 나뉘어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도 설계했다. 수강생들은 매주 금요일 열리는 풀씨아카데미 정규 수업 외 시간을 쪼개 온·오프라인으로 소통하며 아이디어들을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형태로 발전시켰다. 이날 수료식에 앞서 수강생들이 그동안 팀원들끼리 서로 머리를 맞대고서 준비해온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피칭데이가 진행됐다. ‘그리너리’ 팀은 카페에서 일회용 컵과 함께 소비되는 종이 슬리브(sleeve) 활용 방법을 고민했다. 한 번 쓰고 버려지는 게 아니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고, 카드 지갑 등 다른 기능을 더해 실용적인 생활 굿즈로 슬리브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목표다. ‘띠ings’ 팀은 사람들이 책을 사자마자 바로 벗겨 버리는 띠지를 ‘업사이클링’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출판사들과 협력해 아예 처음부터 책갈피로 사용할 수 있는 띠지를 개발하거나, 중고서점에 매입되는 도서의 띠지를 거둬들여 굿즈로 재가공할 계획이다. ‘플쓰제로’

자전거 부품이 악세서리로, 우유팩이 지갑으로… 환경 지키는 ‘새활용’ 아시나요

풀씨아카데미 ‘새활용플라자’ ‘SR센터’ 현장 수업 “버려진 자원에 물리·화학 처리를 해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걸 ‘재활용’이라고 해요. 반면 ‘새활용’은 버려진 자원에 디자인을 더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걸 말해요. 음료수 팩으로 만든 가방, 잡지를 잘게 잘라 압축해 만든 그릇 등이 모두 새활용 제품에 해당하죠.” 지난 15일 서울 성동구 용답동 서울새활용플라자에서 진행된 풀씨아카데미 1기 수강생들의 현장 수업. 임도연 새활용플라자 선임이 수강생들에게 재활용과 새활용의 차이를 설명했다.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함께 진행하는 풀씨아카데미는 환경 분야 공익 활동가 양성 프로그램. 총 21명의 수강생이 지난해 12월부터 수업에 참여했다. 이날 현장 수업은 1기 수강생들의 마지막 일정. 학생들은 서울새활용플라자, 서울도시금속회수센터(Seoul Resource Center, 이하 ‘SR센터’) 등 자원 순환의 현장을 직접 돌아봤다. 현장 수업은 지하 1층의 ‘소재은행’에서 출발했다. 한쪽 벽을 따라 가지런히 놓인 수십 개의 투명 플라스틱 서랍 안에 낱개로 분리된 컴퓨터 키보드 알, 쓰다 남은 전선, 우산에서 떼어낸 천 조각 등이 종류별로 담겨 있었다. 수강생들은 서랍을 열어 소재를 만져보고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느라 분주했다. 이어 ‘젠니클로젯’의 공방으로 이동했다. 젠니클로젯은 버려진 청바지나 친환경 섬유로 가방을 만드는 기업이다. 최근엔 사회적기업 ‘마리몬드’와 협업해 내놓은 목련 자수로 장식한 가방이 온라인에서 완판을 기록했다. 새활용플라자에는 젠니클로젯을 비롯해 자전거 부품을 조명·액세서리로 재탄생시키는 ‘세컨드비’, 폐목재로 그릇이나 인테리어 소품 등을 제작하는 ‘메리우드’, 우유팩을 가공해 카드 지갑을 만드는 ‘밀키 프로젝트’, 폐유리병을 납작하게 눌러 접시, 시계로 변신시키는 ‘글라스본’, 국내

“플라스틱 삼키고 죽어간 새 앞에서 분노하십시오, 그리고 행동합시다”

환경 사진작가 ‘크리스 조던’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미드웨이(Midway) 섬에서 앨버트로스들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고 죽어간다는 이야기를 듣고, 직접 가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섬에 도착했을 때 어떤 장면을 보게 될지 예상은 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섬에 도착해 배 속에 플라스틱이 가득 든 새끼 앨버트로스 수만 마리가 죽은 채로 바닥에 누워 있는 광경을 맞닥뜨렸을 땐. 마음의 준비가 됐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죠.” 4년에 걸쳐 미드웨이 섬에서 앨버트로스들의 생애를 카메라로 기록한 미국 사진작가 크리스 조던(56)은 2009년 처음 미드웨이 섬에 발을 디뎠던 때를 회상하며 말을 잇지 못했다. ‘크리스 조던: 아름다움 너머’전(展)이 열리는 서울 종로구 성곡미술관. 개막식을 하루 앞둔 지난 20일 전시회 참석차 한국을 찾은 작가를 만났다. 왼손 가운뎃손가락에서부터 손등을 가로질러 새겨진 앨버트로스 날개 모양 타투가 눈길을 끌었다. “2006년부터 미국의 대량소비문화로 인해 발생한 환경 문제를 고발하는 사진 작업을 해왔어요. 2008년에 환경운동가 친구와 함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공부하던 중, 한 생물학 연구원으로부터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눈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미드웨이 섬에 가서 죽은 앨버트로스의 배 속을 보라’는 말을 들었어요. 머릿속에서 ‘댕~’ 하고 종소리가 울리더군요.” 이듬해 미드웨이 섬으로 가는 비행기를 탔다. 우선 눈 아래 펼쳐진 망망대해에 압도됐다. 그는 “이렇게 외딴 섬조차 플라스틱으로 오염됐다니 믿을 수 없었다”며 “몇 주밖에 안 된 새끼 앨버트로스 배 속에서 꺼낸 한 줌의 플라스틱 조각에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고 말했다. 사진으로는 다 담을 수가 없었다.

[알립니다] 풀씨 아카데미 1기 최종 합격자 발표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함께하는 환경분야 공익활동가 양성 프로젝트 ‘풀씨 아카데미’ 1기의 최종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합격자들을 대상으로한 풀씨 아카데미 1기 입학식은 오는 7일 진행됩니다.-일시 : 12월 7일(금) 오후 2시~6시-장소 :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606 금정빌딩 6층 숲과나눔 강당 (면접 대기 장소) 최종 합격자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나다순,  이름 / 휴대전화 뒷번호 4자리) 1 강다영 / 7298 2 강성훈 / 5492 3 강수림 / 7369 4 고영수 / 6745 5 구민경 / 9430 6 김기정 / 6019 7 김다솔 / 2115 8 김미현 / 7517 9 김아리 / 7979 10 김연주 / 9635 11 김윤호 / 7648 12 김지우 / 6959 13 김창섭 / 7107 14 노영은 / 9907 15 이동호 / 7865 16 이선지 / 7746 17 이시열 / 6724 18 이주현 / 3521 19 장한나 / 2983 20 전예슬 / 6893 21 정도현 / 4330 22 조희영 / 7522 23 지민지 / 3168 24 최수빈 / 2251 25 하성민 / 6408 *합격자 전원에게 합격 안내 메일과 문자가 개별 발송됐습니다. *문의: 02-724-7818, sh0519@chosun.com

[알립니다] 풀씨 아카데미 1기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함께하는 환경분야 공익활동가 양성 프로젝트 ‘풀씨 아카데미(풀씨)’ 1기의 서류전형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면접은 11월 29일(목) 오후 2시부터 3인 1조로 30분간 진행될 예정입니다. 합격자 및 면접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면접 일시 : 11월 29일(목) 오후 2시부터면접 장소 :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606 금정빌딩 6층 숲과나눔 강당 및 회의실 ※면접 대상자에게는 문자메시지와 이메일로 면접이 개별 안내될 예정입니다. 27일(화) 오후3시까지 연락을 받지 못한 대상자는 담당자(sh0519@chosun.com, 02-724-7818)에게 문의해주세요. ※면접은 ‘환경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 갖고 있는가(문제 정의, 해결책, 전문성 등이 얼마나 뚜렷한가)’에 관한 질문들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면접 대상자 명단(번호/이름/생년월일) *14:00~14:30  (*면접 시작 10분 전까지 도착해주세요.) A그룹1 손은* 9311282 이주* 9602023 김지* 970603 B그룹1 최수* 9707182 전예* 9710163 노영* 990831—————– *14:30~15:00  (*면접 시작 10분 전까지 도착해주세요.) A그룹1 강성* 9002122 장한* 9501233 이미* 960813 B그룹1 이보* 9801232 정도* 9805303 김창* 990607—————– *15:00~15:30  (*면접 시작 10분 전까지 도착해주세요.) A그룹1 이선* 8806152 김미* 9012033 이정* 910125 B그룹1 이동* 9311302 김연* 9711203 이시* 980207—————– *15:30~16:00  (*면접 시작 10분 전까지 도착해주세요.) A그룹1 이한* 8906272 김기* 8909303 고영* 910529 B그룹1 김윤* 9211082 구민* 9409163 강다* 990818—————– *16:00~16:30  (*면접 시작 10분 전까지 도착해주세요.) A그룹1 김아* 9004242 김윤* 9211023 강수* 9406204 김다* 950530 B그룹1 고나* 9802262 조희* 9804083 하성* 990723—————– [더나은미래 csmedia@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알립니다] 재단법인 숲과나눔×더나은미래… ‘풀씨 아카데미’ 1기 모집합니다

환경 분야 공익활동가 양성과정 ‘풀씨 아카데미’가 1기 입학생을 모집한다.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조선일보 공익섹션 더나은미래가 함께 기획한 ‘풀씨 아카데미’는 환경과 공익을 위해 일하고 싶어 하는 청년들의 꿈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12주 과정의 환경 분야 공익활동가 양성 프로그램이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환경 분야 인재 양성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은 여전히 전무한 상황에서, 더 많은 인재가 비영리 섹터로 들어와 사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자는 게 풀씨 아카데미의 목표다. 환경 분야 공익활동에 관심 있는 만 19세부터 30세까지의 청년은 누구나 풀씨 아카데미에 지원서를 낼 수 있다. 심사를 거쳐 입학생으로 선발되면 ‘최강 멘토 군단’의 실전 강의를 통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국내외 환경운동의 역사 ▲한국 환경운동의 특수성과 단체들의 현황 ▲현재의 환경 이슈와 트렌드 등에 대한 토론식 수업과 현장 연계 수업에 참여하게 된다. ▲비영리 조직의 특성 이해하기 ▲기획안 작성하기 ▲펀딩하기 ▲사업 홍보하기 등 비영리 활동가가 꼭 알아야 할 실무 수업도 받는다. ▲현직 환경단체 선배들과의 만남 ▲활동가를 거쳐 타 분야로 진출한 선배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 시간도 갖는다. 입학생 총 30명을 선발해 집중 교육을 하며, 수업료는 전액 무료다. 수강생은 3명씩 총 10팀으로 나뉘어 환경 분야 혁신 아이디어를 하나씩 제출해야 하며, 과제를 성실히 수행한 모든 팀에는 해당 아이디어를 직접 실험해볼 수 있도록 300만원을 지급한다. 최고의 아이디어를 낸 한 팀엔 ‘비영리 스타트업’

(재)숲과나눔, 환경·안전·보건 분야 연구자 지원 사업 시작…장학생 모집(~12.2)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환경·안전·보건 분야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장학사업 ‘나무 같은 인재, 숲 같은 사회’ 장학생을 오는 12월 2일까지 모집한다. 프로그램은 ▲석·박사 과정 장학 ▲박사 후 펠로우십 ▲특정 주제 연구 지원 등 세 가지로 진행된다. 석·박사 과정 장학 프로그램의 모집 대상은 환경·안전·보건 분야의 국내 대학원 입학예정 또는 재학생이며, 대학원 등록금과 소정의 학습비 또는 생활비가 지원된다. 박사 후 펠로우십 프로그램은 환경·안전·보건 분야 박사학위 취득 3년 미만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며 연간 1억 원의 연구비와 생활비를 최대 2년 동안 지원한다. 특정 주제 연구 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환경·안전·보건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1년 동안 연구비와 생활비로 최대 30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선발 기준은 ▲전공 이해도 ▲인재로의 성장 가능성 ▲연구의 지속 가능성 ▲학업 계획의 우수성 등이다. 자세한 사항은 숲과나눔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더나은미래 csmedia@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숲과나눔, 시민 아이디어 지원사업 [풀:씨] 공모

환경·보건·안전 분야 난제 해결 위한 시민 아이디어 공모50개 팀 선정해 팀당 300만원씩 총 1억 5000만원 지원 재단법인 숲과나눔이 사회 난제 해결을 위한 시민 아이디어 지원사업 [풀:씨] 공모를 시작한다. [풀:씨]는 시민들이 환경·안전·건강 분야의 아이디어를 직접 제안하고 실천해볼 수 있도록 활동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개인과 소규모 단체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시민운동의 모델을 만들기 위해 기획됐다. 총 50개 팀을 선정해 팀당 300만원씩 총 1억 5000만원을 지급한다. 일회용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안, 미세먼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 등 환경·안전·건강 분야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가진 시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접수 기간은 다음 달 14일 오후 11시까지이며 신청서와 활동계획서, 예산계획서 등을 작성해 숲과나눔 홈페이지(www.koreashe.org)로 제출하면 된다. 최종 심사 결과는 다음 달 19일 발표된다. 장재연 숲과나눔 이사장은 “시민 아이디어 지원사업 [풀:씨]를 통해 작지만 큰 힘을 가진 아이디어들이 우리 사회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있는 정책으로 성장하길 바란다”면서 “내년부터는 100개 팀, 총 3억 원으로 지원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숲과나눔의 시민 아이디어 지원사업은 연간 총 7억 원 규모로 꾸려지며, 3단계로 진행된다. ­시민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1단계 [풀:씨], 1단계에서 나온 성공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2단계 [풀:꽃], 2단계의 최우수 사업을 전국 단위 연대사업으로 확장하는 3단계 [풀:숲] 등이다. <숲과나눔, 시민 아이디어 지원사업 [풀:씨]>-접수 마감: 10월14일(일) 오후 11시까지-접수 방법: 숲과나눔 홈페이지(www.koreashe.org)에서 신청서 받아 작성 후 제출-결과 발표: 10월 19일(금)-활동 기간: 11~12월(약 2개월)-온라인 설명회: 10월 1일(월) 오후 2시 숲과나눔 페이스북(www.facebook.com/koreashe)-문의: 02-6318-9002 [김시원 더나은미래 편집장 blindletter@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열매·자원 나눠주는 인재 숲 만들 것”

[인터뷰] 장재연 숲과나눔 이사장 지난 4일 공식 출범 ‘숲과나눔’, SK하이닉스가 출연한 비영리 재단안전·보건·환경 인재 양성이 목표, 모든 곳서 독립돼야 신뢰받아  “인재를 키우는 건 나무를 키우는 것과 같아요. 혼자 우뚝 선 나무는 소용없죠. 다른 나무들과 어우러져 숲을 이뤄야 해요. 자신들이 가진 열매와 자원을 세상에 나눠줄 수 있는 울창한 ‘인재 숲’을 만드는 게 우리의 미션입니다.” 지난 16일 만난 재단법인 ‘숲과나눔’의 장재연(61) 이사장은 재단 이름에 담긴 뜻을 이렇게 풀이했다. 숲과나눔은 SK하이닉스가 350억원을 출연해 만든 비영리 공익재단이다. 지난 4일 정부 설립 허가증을 받았다. 이날이 재단의 공식 생일이 된 셈이다. 장재연 이사장은 “7월 4일은 7·4 남북 공동성명이 있던 날이고, 미국 독립기념일이기도 하다”면서 “뭔가 뜻깊은 나눔이 시작될 것 같은 예감”이라고 했다. “숲과나눔의 주요 목표는 안전·보건·환경(Safety·Health·Environment, 이하 ‘SHE’) 분야 인재 양성입니다. 현재 사무처를 운영할 핵심 직원 7명을 뽑았고, 사무실도 곧 완성됩니다. 50명 정도가 함께 모일 수 있는 큰 회의실도 만들었습니다. 수시로 토론과 포럼을 열어 아이디어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장 이사장은 “숲과나눔은 SK하이닉스가 설립했지만 재단의 의사 결정, 운영은 모두 외부 인사로 구성된 위원회와 이사회가 맡는다”며 독립성을 강조했다. 재단이 기업이나 정부의 영향을 받게 되면 이리저리 휘둘리다 신뢰를 잃게 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재단은 기업과 분리돼야 합니다. 정부와 엮여서도 안 됩니다. 안전·환경·보건 분야는 특히 더 그렇다고 봐야죠.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환경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해보세요. 환경 분야의 재단이 그 기업과 연결돼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