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카 민관협력사업, 아프리카 현장을 가다 ③<끝> 코이카·포스코 손잡고 농업지도 훈련원 설립 청년 농업전문가 키워 미래 식량·신소재 사업 위해 농업 인재에 집중 투자 중 교육 통해 의식 개선 되자 기업 인지도 저절로 높아져 “아프리카는 원료나 수출 관련 법이 워낙 자주 바뀌는 데다, 그 법조차 투자자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무관세로 통과되는 회사가 있지만, 관세가 너무 높아 진출을 포기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관세, 사업 인허가 등 모든 결정 권한이 정부 고위 관계자들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이들과 신뢰를 얼마만큼 쌓았느냐에 따라 사업 성패가 좌우됩니다. 포스코는 사회공헌을 통해 정부 관계자와 주민에게 자연스레 신뢰를 얻었습니다.” 박중석 포스코 아프리카 법인장의 말이다. 지난 2011년, 포스코는 아프리카 남동부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사회공헌을 진행했다. 모잠비크, 짐바브웨 등 두 나라에 농업훈련센터를 짓고, 청년들의 농업 기술 교육을 지원하는 것.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하면서 아프리카 주민들과 신뢰를 쌓은 포스코는 이듬해인 2012년, 남아공에 아프리카 법인을 설립했다. 박 법인장은 “아프리카에서 비즈니스보다 글로벌 CSR(기업의 사회적책임)을 먼저 시작한 기업은 포스코가 최초”라고 설명했다. ◇포스코, 청년 농업 전문가 육성 지난달 10일, 모잠비크 수도 마푸토에서 북쪽으로 80㎞ 떨어진 마니사군에 들어섰다. 3만평에 달하는 땅이 황금색으로 뒤덮여 있었다. 빨간색 트랙터에 올라탄 한 청년이 조심스레 운전대를 잡았다. 트랙터가 지나가자 빽빽하게 서 있던 누런 볏단이 기계 속으로 쑥쑥 빨려 들어갔다. 논을 두 바퀴 돌고 나자, 청년 20여명이 트랙터에 모인 나락을 자루에 쓸어담았다. ‘마니사 농업지도자 훈련원’ 학생들이다. 지난 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