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수급 어렵고, 만들어도 팔 데 없고… 위태로운 국내 업사이클 사업

기업 대부분이 적자 늪에 ‘허덕’ ‘소재은행’ 있지만 전시장에 불과… 재료 부족해 제품 못 만들기도 公共이 ‘소재 중개 전문가’ 키워야 업사이클 특성상 제품 설명 중요 더 많은 오프라인 판매처 필요해 정부, 청년 창업·지원센터 확대 계획 전문가 “생산 시설 마련이 더 급해” 아름다운가게가 운영하는 업사이클(upcycle· 폐기물에 디자인·기능을 덧입혀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 브랜드 ‘에코파티메아리’가 최근 대대적인 쇄신 작업에 들어갔다. 오프라인 매장 디스플레이를 세련된 편집숍처럼 바꾸고, 최신 유행 디자인을 접목한 하위 브랜드 ‘리업(Reup)’도 출시했다. 공격적인 사업 확장 전략이라기보다 존폐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타개책이다. 에코파티메아리 관계자는 “사업이 몇 년째 계속 적자를 내자 아름다운가게 내부에서 브랜드를 완전히 접어야 한다는 얘기가 진지하게 오갔다”며 “버려진 자원에 새 가치를 부여한다는 사업 취지를 고려해 좀 더 두고 보기로 했지만, 앞으로도 난관이 예상된다”고 했다. 2006년 탄생한 에코파티메아리는 명실공히 국내 1호 업사이클 브랜드다. 아름다운가게로 들어온 기부 물품 중 판매하기엔 질이 떨어지지만 버리기는 아까운 것들을 재료 삼아 인형, 지갑, 가방, 의류 등을 제작해 판매해왔다. 에코파티메아리 제품은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에 전시될 만큼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한계에 부닥친 지 오래다. 국내 업사이클 시장이 위태롭다. 2018년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업사이클 시장 규모는 40억원 미만으로 추정된다. 세계적인 업사이클 기업 ‘프라이탁(Freitag)’이 연간 벌어들이는 금액(약 700억원)의 5%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개별 기업들의 상황도 좋지 않다. 한국업사이클디자인협회가 2016년 국내 주요 업사이클 기업 24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가죽 골라내고 기름때 닦고… 가방으로 완성되는 데 열흘

정성이半, 업사이클링제품 제조 과정 최근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는 업사이클링 제품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자투리 가죽을 붙여 만드는 ‘패치가죽클러치’의 과정엔 ‘정성’이 절반 이상이다. “소파를 만드는 업체에서 만들다 남은 것, 상처가 있는 것, 변색된 것 등 자투리 가죽을 기부받아 와요. 손바닥만 한 것부터 방석 크기, 제각각이죠. 열 포대 정도를 가져와서 쫙 펼쳐놓고 상품이 될 만한 걸 골라내면 한 포대 정도로 줄어듭니다. 글씨 같은 게 새겨져 있으면 일일이 지워야 하고요. 전부 사람 손을 거쳐야 하죠.” 이승선 에코파티메아리 팀장의 설명이다. 이후에는 프레스로 조각을 이어 붙이고, 안감을 대서 어엿한 가방의 모습을 갖춘다. 열흘 정도가 걸리는 공정이다. “아무리 닦아내도 기름때가 남아 있을 때면 ‘100만원은 받아야 하는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웃음).” 정지은 세컨드비 대표가 말하는 고충이다. 자전거 폐소모품으로 인테리어 장식품과 장신구 등을 만드는 정 대표는 경기도 구리 지역의 자전거 매장 3곳을 돌며 밑재료를 마련한다. “두 달에 한 번씩 가서 버려진 부품을 구해와요. 바퀴, 타이어, 스프로킷(톱니바퀴 모양의 체인을 거는 부품), 체인 같은 것들이죠. 고물상에도 팔 수 있는 것들이라 개당 5000원을 주고 사오는데, 한 번 갈 때 보통 30만원어치를 장만합니다.” 기름에 찌든 부품들이라 세척이 관건이다. 전부 세세하게 분해를 한 후 닦아내는 데 3일 정도가 소요된다. “마른 무쇠 솔로 겉을 털어내고, 탄산수소나트륨으로 기름기를 없애죠. 그다음에 물로 닦고요. 워낙 찌든 기름때라 정말 끝이 없어요. 세척이 끝나면 작업 절반이 끝났다고 봐도 될

디자인을 만나 폐품이 명품으로… 업사이클링을 아십니까?

폐타이어로 신발 제조… 폭탄 수거해 액세서리로… 세계적 추세이지만 국내서는 이제 싹트기 시작 현수막 하이힐·커피콩 귀걸이… 쓸모없는 물건이 브랜드로 업사이클링 대표 주자들 ‘프라이타크(Freitag)’는 스위스의 ‘국민 브랜드’로 불린다. 폐(廢)방수천을 활용해 만든 가방을 판다. 연매출은 700억원을 넘어선다. 1993년부터 20년 넘게 한길만을 걸어온 결과다. 국내에도 ‘제2의 프라이타크’를 꿈꾸는 업사이클링(Upcycling) 대표 주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업사이클링은 버려지는 소재를 다시 활용하는 ‘리사이클링’과 다르다. 버려진 물건에 디자인을 접목해 완전히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5년 전, 7개에 불과하던 브랜드도 지난해 말 68개까지 9배가량 늘었다. 빨리 만들고 빨리 버리는 패스트 패션 시대에 과연 업사이클링 열풍은 돌풍이 될 수 있을까. 편집자 주 “불 끄는 소방호스 아시죠? 그걸로 만든 신발이에요.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벼워 소재의 완성도가 가죽 못지않죠. 밑창은 폐타이어고요. 소방호스가 영국은 주황색이고 미국은 검은색이에요. 우린 흰색이라 흰 신발밖에 못 만들어요(웃음).” 지난 14일, 서울 마포구 마을장터 ‘늘장'(공덕역 1번 출구)에 새롭게 문을 연 ‘업사이클링 트렌드 스토어’에서 천재용 리틀파머스 대표가 손님맞이로 분주했다. 늘장은 하루 1000여명이 찾는 시민 장터다. 이곳에 업사이클링 제품만을 모은 편집매장이 최초로 들어선 것이다. 13개 브랜드가 함께 힘을 모았다. 가방, 액세서리, 지갑, 유리컵, 셔츠와 방석 등 제품은 일반 매장과 다르지 않다. 다만 제품 하나마다 설명을 들어보면 ‘우와~’ 탄성이 나온다. 영자신문으로 만든 지갑, 폭탄으로 만든 팔찌들, 버려진 데님으로 만든 가방까지 상상치 못한 소재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폐타이어는 처치에 애를 먹는 폐기물이에요. 20% 정도만 재활용돼요. 타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