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노힘찬 민트컬렉션 대표 “패션 산업은 연간 100억t 이상의 탄소를 배출하지만, 산업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는 전혀 관리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확한 측정’부터 해야합니다. 의류의 발생부터 재사용까지 데이터를 측정해 의류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지난 20일 서울 서대문구 민트컬렉션 사무실에서 만난 노힘찬(34) 대표는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던 패션산업에도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며 “의류의 생산부터 판매, 재사용 과정에서 데이터 정보를 기록하면 버려지는 의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0년 설립된 민트컬렉션은 옷에 대한 정보가 담긴 디지털 라벨링 기술로 의류의 재사용를 촉진하는 순환 패션 플랫폼이다. 2021년엔 약 2만벌의 의류를 회수해 1억5000만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지난해 9월부턴 패션산업의 디지털화를 위해 옷에 디지털 정보를 결합한 라벨 ‘민트 아이디(MINT-ID)’를 도입했다. -패션 산업의 가장 큰 문제가 뭔가? “기업에서 의류를 100벌 생산하면 30벌 정도만 판매된다. 이후 70벌은 아울렛 판매나 기부를 통해 해결되지만, 그럼에도 남는 옷들은 결국 소각된다. 이렇게 매년 330억벌의 옷이 폐기되고 있다. 브랜드 측에서는 가치 보존 등의 문제로 버려지는 의류 문제에 대해 나서지 않아 의류 순환 과정이 정확히 측정조차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잘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그간 패션업계는 버려지는 의류량을 일일히 파악하는게 현실적으로 어려워 손대지 못했다. 때문에 데이터 측정을 통한 전 과정 관리가 중요하다. 민트컬렉션은 민트 아이디를 개발해 소비자에게 상품의 재판매·정품 여부와 환경 이력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옷을 구매할 때 구구절절 설명하면 좋아하는 소비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