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창호 더불어사는사람들 대표 “금융권에서 ‘신용 불량자’라고, 마음까지 ‘불량자’인 것은 아니잖아요.” 담보도, 보증도, 이자도 없다. 전화로 사연을 듣고, 문자로 이름·계좌번호·대출금액·용도를 받으면 심사가 끝난다. 사단법인 ‘더불어사는사람들’이 운영하는 무이자 소액대출은 이렇게 14년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초 기준 누적 이용자는 9200여 명, 대출액은 40억원을 넘었다. 상환율은 93%에 달한다. 이 금융 모델을 만든 이는 이창호(70) 대표다. 지난달 24일 <더나은미래>와 만난 그는 소외계층 금융에 눈을 돌린 계기를 50년 전으로 거슬러 올렸다. “1973년, 공고를 막 졸업하고 공장에 취직했죠. 그런데 같은 일을 하는데도 상고를 나온 동료 월급이 더 많더군요.” 수년 뒤 방송통신대 경영학과에서 ‘동일노동 동일임금’ 개념을 배우고서야 그때의 감정을 ‘불공정’이라 부를 수 있었다. 이 경험은 ‘함께 잘 사는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키웠다. 공장 신용협동조합에서 조합원으로 활동하며 신협의 철학과 운영 방식을 접했고, 지역 주민이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의 힘을 목격했다. 1985년에는 최연소 중앙신용협동조합 감사로 임명됐다. 그때부터 “더불어 사는 것”은 그의 평생 철학이 됐다. ◇ 신협에서 배운 협동 정신, 한국판 ‘그라민 은행’으로 2007년 말 명예퇴직 뒤, 다시 신협에 들어가려 했지만 ‘나이’가 걸림돌이었다. 그 무렵 2006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무함마드 유누스의 ‘그라민 은행(Grameen Bank)’을 떠올렸다. 보건복지부 ‘자활공동체 창업지원사업’으로 마이크로크레딧을 배우며 “내가 꿈꾸던 신협을 만들어야겠다”는 결심을 굳혔다. “규모가 커진 신협은 소액대출이 어렵고, 신용불량자 등 금융 사각지대는 방치되고 있었죠.” 2011년 사재 3000만원과 기부금을 모아 ‘한국판 그라민 은행’을 세웠다. 초창기에는 대출 신청자를 만났지만, 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