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英 3국의 공정무역 예찬론 ①한국 – 김송이

“내가 산 단 하나뿐인 제품그들에겐 삶을 바꾸는 힘” 오는 8일은 세계 공정 무역의 날이다. 공정무역(Fair Trade)은 제3세계의 가난한 생산자를 ‘시장’에서 돕기 위한 사회적 운동이다. 생산자에게는 정당한 대가를 주어 물건을 사고, 소비자에게는 유통 과정을 최대한 생략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도록 노력한다. 공정무역 제품은 일반 상품에 비해 10~20% 정도 비싸지만, 프랑스에서는 바나나 판매량의 80% 이상을 공정무역 상품이 차지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공정무역 시장은 매년 20%가 넘는 성장을 기록하며, 2008년 기준 40억달러(약 4조5000억원)의 거래를 기록하고 있다. 공정무역으로 인해 750만 명의 생산자와 그 가족들이 좀 더 나은 집에서 살고 교육을 받으며 일자리를 얻고 있다. 한·미·영 3개국의 공정무역 예찬론자를 통해 실제 공정무역에 어떤 매력이 있는지 들어봤다. 편집자 주 김송이(29세)씨는 전 세계를 상대로 무역 사업을 펼치려는 꿈이 있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지난 2004년 미국 샌디에이고에 있는 대학 국제경영 학과에 입학했다. 영어 수업은 쉽지 않았지만, 꿈을 향해 나아가는 첫걸음이라 생각하니 신나기만 했다. “그때는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까 매 순간 생각한 셈이나 마찬가지였죠.” 하지만 학교는 그저 돈을 잘 버는 방법만 가르치지는 않았다. 수업 중간, 제3세계 사람들에게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주고 물건을 거래하는 ‘공정무역’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배우게 됐다. “갑자기 머리를 망치로 맞은 듯했어요. 어떻게 하면 사람들에게 더 적은 임금을 주고 더 많이 일하도록 할까를 고민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임금을

[Cover story] 세계 Top 10 사회적 기업가를 찾아서 ①’잡 팩토리’의 로버트 로스

“시작은 사명감으로, 생존은 기업가 정신으로” 2000년 정부 지원 끊겼지만 실업 청소년 위해 포기 안 해 연간 매출액 약 99억원… 사회적 비용 절감 약 93억원 돈 버는 일? 어렵다. 직원들 월급 주며 사장 노릇 하기? 더 어렵다. 게다가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주려고 사업을 벌인다면? 불가능한 꿈이다. 하지만 이런 불가능한 꿈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있다. 혼자가 아니기에, 그리고 꿈꿀 만한 가치가 있기에, 이 악물고 도전한다. 지금 세계를 바꾸고 있는 ‘사회적 기업가’들은 이런 꿈을 꾸는 사람들이다. 돈을 많이 벌기 위해 회사를 차리는 게 아니라,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회사를 차린다. 이자를 벌기 위해 은행을 하는 게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이 자립할 돈을 꿔주기 위해 은행을 만든다. 어려운 사람들의 주머니 사정에 맞는 병원을 짓고,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싼 전기를 제공한다. ‘욕심’을 버리니 세상이 바뀐다. 전 세계 사회적 기업가는 100만명을 넘어섰다. 조선일보 공익섹션 ‘더 나은 미래’는 ‘세상을 바꾸는 사회적 기업가’들을 찾아 지난 3개월간 유럽과 미국, 아시아를 누볐다. 나라마다 대륙마다 사회적 기업가의 철학과 비전도 달랐다. ‘공동체’를 주장하는 시민운동가에 가까운 사회적 기업가부터, 철저히 시장 마인드로 무장한 사회적 기업가도 있었다. 이렇게 다양한 사회적 기업가들의 심층 인터뷰와 분석을 통해 한국형 사회적 기업의 가치를 찾아보려 노력했다. 첫 번째 인터뷰는 스위스에서 이뤄졌다. 청소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 ‘잡 팩토리’를 설립한 로버트 로스(Robert Roth·60)씨가 주인공이다. 다보스포럼의 창립자인 슈밥이 만든 슈밥재단(Schwab Foundation)은 ‘잡 팩토리’가 연간 860만 스위스프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