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아라 희망아’ 어린이 돕기 티아라의 부모님은 아픕니다. 열세 살 티아라도 그걸 압니다. ‘힘없이 누워 있을 때가 많아서’ 자연스럽게 알게 된 것입니다. “부모님이 많이 아플 땐 어떻게 돕느냐”고 하자, 티아라는 “전통요법을 해 드린다”고 합니다. 전통요법이란 시퍼렇게 멍이 들 때까지 동전으로 몸을 긁는 것을 말합니다. 치료라기보단 아픔을 잊기 위해 더 큰 통증을 만드는 것입니다. “몇 번이나 해봤느냐?” 질문에 “셀 수 없다”고 답합니다. 티아라의 부모님은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IV, Human Immunodefi ciency Virus)’ 보균자입니다. 에이즈(AIDS)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환자라는 뜻입니다. 아버지는 행여 아이가 병에 옮지나 않을까 노심초사입니다. “내가 사용했던 면도기 같은 걸 아무렇게나 놓고 나오기라도 하면, 하루 종일 ‘아이가 가지고 놀다 다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된다”고 합니다. 이들은 천식이 심하고, 두통에 자주 시달리다 보니 일을 오래 하기 어렵습니다. 추수철에 이웃의 논일을 잠깐씩 도와주고 받는 돈이 수입의 전부입니다. 기계로 벼를 베는 추세로 바뀌면서, 이마저도 일감이 줄었습니다.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숲에서 야생 감자를 캐거나, 인근 저수지에서 낚시를 하기도 하지만, 몸 상태 때문에 일을 할 수 없는 날이 더 많습니다. 제대로 끼니를 챙기는 것조차 버겁습니다. 보건소에서는 아픈 티아라의 부모에게 “약을 하루 3알씩 챙겨 먹고, 특히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을 많이 먹을 것”이라고 처방했지만 약도, 영양가 있는 음식도 ‘딴 세상 얘기’입니다. 아버지 소팔(35)씨는 “아내나 나는 보통 하루 한 끼 정도 먹는다”며 “아이들만큼은 끼니를 거르지 않게 하려고 노력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