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던 농업이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사 과정에서 탄소를 흡수해 토양에 가두는 이른바 ‘탄소농업(Carbon farming)’의 확산 덕분이다. 지난달 25일(현지 시각) 유럽의회와 EU 이사회는 공동농업정책(CAP)의 2023~ 2027년 계획을 3년간의 논쟁 끝에 최종 합의했다. 이번 최종 합의안에는 480억유로(약 64조4169억원) 규모인 EU 농업직불금의 25%를 탄소농업에 지원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농업 분야를 탄소 흡수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이다. 전날인 24일 미국 상원에서는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농업인이 탄소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민주당의 데비 스태버나우 상원의원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농업을 지원하기로 했다”면서 “농업뿐 아니라 임업에도 이 법안을 적용하게 된다면 승용차 1억1000만대에서 배출하는 것과 맞먹는 양의 탄소를 땅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호주 농업부는 이미 2011년부터 ‘탄소농업 협의체(Carbon Farming Initiative)’를 만들어 농업인에게 탄소배출권으로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탄소농업의 기본 원리는 토양을 탄소 저장고로 삼는 것이다. 수확을 마친 뒤 잔재물을 땅에 묻으면 미생물 분해를 촉진하게 되고 이를 통해 탄소를 수십 년간 땅속에 저장할 수 있다. 미국 로데일연구소는 전 세계 농경지에 탄소농업을 적용하면 2018년 기준으로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2%(약 12Gt)를 흡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인 농법으로는 ▲농경지 갈아엎는 것 최소화하기 ▲같은 농지에서 두 가지 이상의 작물 동시에 기르기 ▲하나의 농지에 두 종류 이상의 작물 바꿔가며 키우기 ▲가축 분뇨나 식물의 잔재를 퇴비로 사용하기 등이다. 논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