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 재활용해 재생 원료 생산하는데중국선 새 플라스틱 써 단가 40% 낮춰 거래국내 일부 기업 사용 “‘그린워싱’ 논란될 것” ‘친환경 바람’을 타고 플라스틱 재생 원료 가격이 치솟으면서 재생 원료용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기현상까지 나오고 있다. 소비자가 사용하고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게 아니라 플라스틱을 생산하자마자 재생 원료로 둔갑해버리는 것이다. 국내 재활용 업계 관계자는 지난 10일 더나은미래와 통화에서 “중국 현지의 일부 제병 공장에서 페트병을 만들자마자 잘게 부숴 바로 재생 원료 생산 업체로 보내고 있다”며 “전혀 재활용이라고 볼 수 없지만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국내에서도 유통하고 있다”고 했다. 국내 시장에 퍼지는 ‘가짜 재생 원료’ 일반적으로 재생 원료는 소비자로부터 수거된 ‘PCR(Post-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야 한다. 시장에 유통된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고 선별, 세척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재생 원료 생산 단가도 높아진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생 원료를 생산하기 위해선 t당 수거·선별 비용이 20만원, 세척 비용이 30만원가량 든다. 업계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대신 ‘버진칩 플라스틱’으로 재생 원료를 생산하면 공정이 짧아지고 생산 단가도 확 낮출 수 있다. 또 불순물이 없어 품질도 우수하다. 재생 원료를 수입해야 하는 기업과 ‘가짜 재생 원료’ 생산으로 수익을 내는 기업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것이다. 최근 글로벌 소비재 기업들은 세계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 조치에 맞춰 재생 원료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5년까지 플라스틱 포장재의 재활용 비율을 55%까지 확대하고, 일본은 2030년까지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을 60%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에 따라 코카콜라, 펩시, 에비앙 등 페트병을 사용하는 음료 기업들은 물론 나이키, 아디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