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CN, ‘젠더폭력과 환경의 연관성’ 연구 보고서 발표 ‘환경 파괴’가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등 여성을 상대로 한 ‘젠더 폭력’을 부추기는 주요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지난달 29일 ‘젠더 폭력과 환경의 연관성: 불평등의 폭력’ 보고서를 통해 “젠더 폭력은 성 불평등에 따라 나타나는 동시에 환경 파괴로 희소해진 자원을 독점하기 위해 기득권층이 활용하는 수단이기도 하다”며 “환경을 지키려는 활동과 양성 평등을 촉진하는 노력을 연계해야 젠더 폭력을 끝낼 수 있다”고 밝혔다. IUCN은 지난 2년간 1000건이 넘는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주민·활동가 등 300여 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젠더 폭력은 ▲토지·숲· 식량·물·어류 등 자원의 통제 ▲불법 밀렵·벌목·채굴 등 인간의 환경 파괴 행위 ▲생태계· 자원 보존을 위한 활동에 대한 저항 등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발생한다. 보고서는 여성들이 환경 파괴와 관련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젠더 폭력에 노출되는지에 대한 실제 사례를 보여준다. 기후변화로 물 부족을 겪는 솔로몬제도의 18세 여성이 물을 긷기 위해 먼 길을 나섰다가 여섯 남성에게 성폭행을 당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인간이 천연자원을 착취해 환경 파괴를 가속하는 과정에서도 여성들은 희생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등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힘있는 무장 단체들이 광물 등 천연자원을 독점해 불법 채굴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곳 여성들은 주로 광산에서 일하는데, 경제적인 이유로 성폭력·폭행을 당해도 저항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 전체 여성의 12%가 성폭력을 경험했다. IUCN은 ▲젠더 폭력과 연계한 환경 보전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