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 미디어와 팟캐스트 등 개인방송 매체가 범람하는 시대, ‘공동체 라디오’가 존재하는 이유는 뭘까. 공동체 라디오란 지역의 공동체가 직접 운영부터 제작까지 함께 해나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이다. 2005년 방송위원회가 8개의 시범사업자를 선정하며 공동체 라디오를 의욕적으로 출범시켰다. 초기 8개 라디오 방송국은 광주시 북구청의 ‘광주시민방송’, 대구 성서의 ‘성서 공동체 FM’, 경북 영주의 ‘영주 FM’, 충남 공주의 ‘금강FM’, 성남 분당의 ‘FM분당’, 서울의 ‘관악FM’과 ‘마포 FM’, 그리고 전남 나주의 ‘나주 시민방송’이었다. 정식사업자로 선정되는 과정에서 탈락한 ‘나주 시민방송’을 제외한 7곳이 현재 출력 1와트로 방송을 하고 있다. 이중 가장 활발한 활동으로 손꼽히는 곳이 관악FM 공동체라디오다. 관악FM은 10개 이상의 마을미디어를 설계운영하고, 광주 고려인마을 고려FM 방송시스템이 안착되도록 도왔다. 영향력이 미미한 공동체라디오 중 유독 관악FM이 성장한 이유는 뭘까. 올해 13년째를 맞은 관악FM의 안병천(42) 대표를 만났다. “공동체 라디오는 소수 매니아를 위한 것이 아니고, 지역 주민 전체를 위한 매체입니다. 1인 미디어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지역 단위의 작은 이야기는 소외되고 있거든요.” 라디오는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사람들도 쉽게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매체다. 게다가 다른 매체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관악 FM의 경우, 관악구 중심 지역에서 라디오 주파수를 100.3MHz으로 맞추면 들을 수 있는데, 현재 오전 6시부터 1시간 단위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방송되고 있다. 오전 6시, 노년층이 직접 노후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송 ‘쾌지나 청춘’을 비롯해, 오후 11시 영화 음악 프로그램 ‘시네뮤직’까지 18시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