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테크 투자를 검토하다 보면 흔히 듣는 질문이 있다. “기후테크는 경제성을 갖출 수 있을까?”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이미 ‘가격 경쟁력(Price parity, 화석연료와 비교해 동등하거나 더 낮은 비용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수준)’을 갖췄다. 그러나 산업 전반의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탄소 배출이 많은 산업과 운송 부문의 탈탄소화를 위해 주목받는 수소 에너지와 플라스틱을 원료 성분으로 분해해 재활용하는 해중합(Depolymerization) 기술이 있다. 또한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해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탄소포집(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기술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들 기술은 아직 경제성을 확보하는 데까지 가야 할 길이 멀다. 정치·경제적 불확실성도 더욱 커졌다. 트럼프 재집권으로 인한 기후 정책 변화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수정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경기 둔화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며, 기후테크 투자 환경의 불확실성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 CB인사이트(CB Insights)에 따르면, 실제로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의 펀딩 규모는 2022년 944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2023년 515억 달러, 2024년 309억 달러로 급감했다. 이러한 감소세는 한때 붐을 일으켰던 클린테크 1.0 시대의 VC 투자 실패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우려를 낳고 있다. ◇ 클린테크 1.0의 실패와 재생에너지의 성공 2000년대 중반,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VC)들은 클린테크 1.0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2006~2011년 사이에 250억 달러 이상이 투입됐고, 태양광·풍력·바이오연료·연료전지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등장했다. 하지만 많은 스타트업이 기대한 수익을 내지 못했고, 시리즈 A 단계 투자 기준으로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