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몇 달 동안 홍콩, 싱가포르, 중국, 일본을 차례로 방문하며 아시아 임팩트 투자 생태계의 흐름을 직접 확인했다. 각국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사회적 자본을 키우고 있었고, 그 속도와 방향은 뚜렷하게 달랐다. 홍콩에서는 가족 자산을 기반으로 한 ‘패밀리 오피스형’ 임팩트 투자 생태계가 눈에 띄었다. 세대교체와 함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자산가들이 직접 임팩트 펀드를 조성하거나 벤처 투자에 참여하는 사례가 늘고 있었다. 싱가포르는 국부펀드 테마섹(Temasek)을 중심으로 임팩트 투자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었다. 테마섹은 단순한 정부 자본이 아니라, 사모펀드처럼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도 장기적인 관점으로 ESG·임팩트 투자를 주도한다. 이런 흐름 속에서 민간 투자자와 패밀리 오피스가 잇달아 등장하며, 싱가포르는 아시아 임팩트 자본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중국은 제조업 기반과 기술 집적도를 바탕으로 기후테크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재생에너지, 배터리,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탈탄소 산업 육성이 국가 성장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관련 투자와 기술 개발이 급증하고 있었다. 이처럼 아시아 각국은 서로 다른 모델로 임팩트 투자 생태계를 키워가고 있다. 어떤 곳은 민간 자본의 역동성이, 또 다른 곳은 제도적 자본의 장기성과 안정성이, 또 다른 곳은 산업·기술 혁신의 힘이 생태계의 성장 동력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강점이 맞물릴 때, 아시아는 새로운 자본의 연대와 성장의 축을 만들어낼 수 있다. ◇ 한국과 일본, 같은 사회문제 앞에서 마주한 가능성 특히 한국과 일본의 협력에 주목할 만하다. 두 나라는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이웃이지만, 산업과 투자 생태계 차원의 교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