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체 라디오는 한 마디로 ‘원래 시민 것이던 전파를 시민에게 돌려주는 곳’이라고 생각해요. 원래 전파의 주인은 시민이고 그걸 국가가 방송 사업자들에게 임대해 주는데, 이 과정에서 시민의 작은 목소리가 묻히게 되잖아요. 그래서 주류 방송에서 다루지 못하는 작은 목소리를 전하는 저희 같은 방송이 태어난 겁니다.” 서울 성산동에 자리 잡은 마포 FM은 서울 마포구와 서대문구 일부에 프로그램을 내보내는 ‘공동체 라디오’다. 지난 2005년 전국에서 네 번째로 세워졌다. 공동체 라디오는 지역 공동체가 운영하는 라디오 방송국으로, 인종·계층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방송국을 말한다. 마포 FM 역시 홍대 인근 예술가나 지역 활동가들과 함께 기성 언론이 다루지 않는 이주민, 한부모, 비혼 가정 등의 이야기를 다룬다. 지난달 20일 마포FM 인근 한 카페에서 만난 장지웅 마포FM PD는 “공동체 라디오는 ‘라디오’ 자체보다 ‘공동체’를 중시하는 방송”이라고 했다. “지역 사회 소수자를 포함한 주민들의 목소리를 키우는 활동을 하는데 그 플랫폼이 라디오인 거죠. 원래 시민이 가졌어야 할 ‘마이크’를 시민과 지역 공동체에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성 소수자, 비혼, 한부모…이 사회에 우리도 살고 있다’ 알리는 방송국 공동체 라디오의 장점은 ‘지역에 사는 누구의 목소리도 소외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주류 미디어에서 주로 다루는 기업이나 거대 정치인 소식보다는 ‘지역에 예전부터 지금까지 발언권을 갖지 못했던 사람들의 목소리’를 주로 다룬다. 성소수자, 청소년, 장애인, 지역사회 활동가 등의 목소리를 전면에 내세우는 프로그램이 많다. 대표 프로그램은 레즈비언 프로그램 ‘L 양장점’, 60대 이상 주민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