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6일(화)

올 하반기, 한국형 ESG 지표 나온다… “국내 기업 경영환경·특수성 반영”

정부가 ‘한국형 ESG 지표’(K-ESG)를 올해 안에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외 약 600개 ESG 지표가 난립해 기업부담과 혼란이 커지고 있는 만큼, 가이드라인 성격의 지표가 필요하다는 업계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1일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K-ESG 지표 업계 간담회’를 열고 지표 초안을 공개했다. 국내외 주요 ESG 평가 지표 13개를 분석해 핵심 공통문항 61개를 도출한 결과다.

분야별로는 ▲정보공시(5문항) ▲환경(14) ▲사회(22) ▲지배구조(20)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세부 문항을 살펴보면, 정보공시 분야는 ‘ESG 정보 대외공개 방식’ ‘ESG 정보공개 주기’ 등으로 구성됐다. 환경 분야에서는 ‘재생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 집약도’, 사회 분야에서는 ‘정규직 비율’ ‘최근 3년간 산업재해율’ 등을 평가한다.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이사회 내 여성 인력 수’ ‘내부비위 발생현황 및 공개 여부’ 등을 묻는다.

산업부는 지난해 4월부터 한국생산성본부 등과 함께 산업발전법에 근거한 가이드라인 성격의 ESG 지표를 준비했다. 업계에서는 ESG 평가지표가 600여개에 이르고, 특히 해외 지표는 국내의 경영환경과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아 국내 기업에 역차별을 야기할 수 있다며 우려해왔다. 예컨대 해외 지표의 경우 기업의 인종 다양성을 평가하지만, 우리나라는 외국인 근로자 비율이 유럽연합(EU), 미국 등과 비교해 현저히 낮아 같은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초안에 대한 의견수렴과 보완 작업을 거쳐 올 하반기 최종적인 지표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날 참석한 산업계 관계자들은 “실효성 있는 지표가 되려면 해당 지표가 금융·투자, 더 나아가 해외 유수 평가지표와 상호 인정돼 널리 활용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황수성 산업부 산업정책관은 “이 지표는 또 하나의 새로운 평가지표가 아니라 기업과 여러 ESG 평가기관 등에 가이던스(길잡이) 성격으로 제공되는 표준형 지표”라며 “이 지표가 국내외 여러 사용처에 활용돼 기업의 ESG 평가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강태연 더나은미래 인턴기자 kite@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