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소상공인 10곳 가운데 9곳은 사업장에서 인공지능(AI)을 전혀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서울지역본부가 지난 24일 공개한 ‘서울시 소상공인 AI 인식 및 활용 수준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 사업장에서 AI를 활용 중이라고 응답한 소상공인은 9.7%에 머물렀다. 반면 AI 활용 경험도 없고 도입 계획도 없다는 응답자는 67.3%에 달했다. 향후 AI를 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밝힌 비율은 23.0%였다. 이번 조사는 9월 10일부터 18일까지 9일간 서울 소상공인 300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AI 도입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도입비용 부담’으로, 응답자의 69.0%가 이를 꼽았다. 뒤이어 ‘AI 관련 지식 및 인력 부족'(30.7%),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 어려움'(23.0%), ‘보안 및 데이터 보호 문제'(9.7%) 등이 장애 요인으로 지적됐다.
소상공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 정책으로는 ‘실습 중심 훈련’이 47.7%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성공 사례 및 정보 제공'(41.0%), ‘기초 실무 교육'(30.3%), ‘전문가 상담 및 멘토링'(26.3%)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꼽은 응답이 54.7%로 가장 많았다.
박종석 중기중앙회 서울지역회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서울시 소상공인의 AI 활용 실태와 정책 수요를 명확히 드러낸다”며 “서울시와 중기중앙회가 손잡고 소상공인의 AI 기반 경영환경 전환을 앞당겨야 한다”고 말했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