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 AI는 물류센터의 자율 운영 체계를 여는 미래 물류혁신의 핵심 기술입니다.”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은 지난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물류산업 AI혁신 국회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하며, 회사의 ‘피지컬 AI 기반 물류 AX(AI Transformation)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세미나는 ‘피지컬AI 시작은 물류 AI부터’를 주제로 정부의 AI 육성정책에 맞춰 물류 산업의 혁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더불어민주당 손명수·정진욱·한민수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통합물류협회가 주관했으며, 휴머노이드 M.AX 얼라이언스가 후원했다.
피지컬AI는 로봇이나 장비가 AI를 통해 주변을 스스로 보고 판단해 움직이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구 담당은 ‘넥스트 레벨 물류, 피지컬AI로 가다’ 발표에서 피지컬AI를 “실제 물리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해 행동까지 수행하는 기술”로 정의하며, 이는 단순한 디지털 전환(DX)을 넘어 산업 전반을 AI 기반으로 전환하는 ‘AX의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구 담당은 물류 현장이 매일 방대한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만큼, 물류 산업이 피지컬AI 기술을 가장 빠르게 개발·검증할 수 있는 최적의 테스트베드라고 설명했다.
CJ대한통운은 물류 AX를 위해 ▲AI 기반 의사결정으로 고도화된 ‘지능형 물류센터 구축’ ▲정확도 향상과 효율화를 위한 ‘물류공정 로봇 자동화’ ▲자율주행·로봇 기술을 활용한 ‘수배송 네트워크 최적화’ 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피지컬AI 생태계 확장을 위한 협업도 강화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로보티즈·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로봇 제조사, 에이딘로보틱스 등 로봇핸드 기술 기업과 협력해왔으며, 최근에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할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obot Foundation Model·RFM)을 개발하기 위해 리얼월드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지분 투자도 함께 진행해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CJ대한통운 외에도 장영재 카이스트 AI연구소 소장,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손동신 LG CNS 스마트물류센터 로봇담당위원이 발표를 이어갔다. 이어진 종합 토론에는 심지영 국토교통부 첨단물류과 과장, 권순목 산업통상부 제조AI확산TF 과장, 송창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바이스AX혁신팀장, 박일우 휴머노이드 M.AX 얼라이언스 PD 등이 참여해 물류 AI 혁신 방향을 두고 논의를 진행했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