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1일(목)

비영리 종사자 52%, 3년도 안 돼 떠났다…“인재 투자 전략 필요해”  

“비영리 조직에 제품이 있다면 그것은 변화된 한 인간이다. 비영리 단체란 사람을 바뀌게 하는 전문 직업단체인 셈이다.” (책 ‘비영리 단체의 경영’ 中)

경영학의 구루인 피터 드러커는 책 ‘비영리 단체의 경영’에서 “비영리 단체란 각 개개인의 천부적인 인성과 소질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조직과 단체로, 한 사람의 완전한 시민으로서 성숙할 수 있도록 돕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30일 서울 성동구 헤이그라운드에서 진행된 ‘임팩트 써밋’에서 박성종 아산나눔재단 사회혁신팀 팀장은 피터 드러커의 말에 공감하며 “비영리 조직의 성과는 사람”이라며 “사람이 목적이자 결과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영리 조직의 핵심인 “비영리 종사자들이 지쳐서 떠나고 있다”며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아름다운재단에서 지난 2021년 공개한 ‘한국 비영리 조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비영리 조직 종사자의 52%가 3년이 채 안 돼 조직을 떠났다. 근속연수가 1년 미만인 종사자도 18.1%였다.

아름다운재단에서 지난 2021년 공개한 ‘한국 비영리 조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비영리 조직 종사자의 52%가 3년이 채 안 돼 조직을 떠났다. /더나은미래

이직한 종사자들은 그 이유로 ‘조직의 발전 전망 및 비전 부족’을 1순위(19.4%)로 꼽았다. 계약종료(15.7%), 개인적인 휴식 및 재충전(13.5%), 임금수준의 적정성 문제(8.4%) 등이 뒤를 이었다.

박 팀장은 “비영리 조직에서 굉장히 열심히 일하던 이들이 ‘더 이상 못하겠다’며 이직하는 것이 비영리 생태계의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인재를 양성하는 3가지 방법론을 제시했다.

박 팀장은 첫 번째 전략으로, ‘사회혁신가 육성’을 위한 ‘전략적 리더십’을 강조했다. 사회혁신가란 사회혁신을 실행하고 실천하면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시스템의 변화를 만들어 가는 사람이다.

그는 “조직원들이 어느 분야에 뛰어 들어서, 어떤 전략으로, 어떤 임팩트를 창출할지에 대해 고민하도록 돕는 게 전략적 리더십이다”라고 설명했다.

박성종 아산나눔재단 사회혁신팀 팀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성동구 헤이그라운드에서 진행된 ‘임팩트 써밋’에서 “비영리 조직의 성과는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비영리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조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 팀장은 “비영리 조직을 키우고 사람을 성장시키는 전담 육성기관이 있으면 좋겠다”며 정책적 지원의 부재에 대해 안타까워했다. 영리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정부의 ‘예비 창업자 패키지’와 같은 사업이 있지만, 비영리스타트업을 위한 프로그램은 없다는 것이다. 예비 창업자 패키지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 창업자를 선정해 사업화 자금 지원·창업 교육·전담 멘토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마지막으로 ‘인재 육성을 위한 필란트로피적 자금 공급과 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필란트로피(Philanthropy)는 이타심을 바탕으로 공익을 위해 자발적으로 재정적 지원을 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즉 필란트로피적 자금 공급은 개인이나 단체가 사회 문제 해결이나 공공의 이익을 위해 자발적으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박 팀장은 “해외의 포드 재단, 록펠러 재단, 스콜 재단 혹은 아산나눔재단의 ‘아산 프론티어 아카데미’와 같은 프로그램이 더 많아져야 하고,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고 나눌 수 있는 임팩트 커뮤니티 또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중 자산 규모가 가장 큰 록펠러 재단은 인구 문제 해결, 기후 변화 대응, 농업 발전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해왔다. 재단의 대표적 프로젝트 중 하나는 이탈리아 북부 벨라지오에 300년 된 낡은 빌라를 ‘벨라지오센터(Bellagio Center)’라고 이름 짓고, 1959년부터 전 세계 경제학자, 화가, 시인, 물리학자, 정책 입안자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입주한 전문가들은 기후·보건·국제개발 등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나누고, 재단은 이들의 활동을 지원했다. 약 70년 간 130국 5000여 명의 사람들이 센터를 거쳐 갔고, 이 가운데 노벨상 수상자만 100명에 이른다.

아산나눔재단의 아산 프론티어 아카데미(Asan Frontier Academy)도 사회 문제 해결에 나서는 이들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2013년 처음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소셜섹터 중간관리자가 경영 전략, 리더십, ESG와 임팩트, 재무회계 등 통합 교육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임팩트 써밋은 ‘새로운 수요와 공급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이라는 주제로 마이오렌지, 소셜밸류랩, 누구나데이터, 온율, 서울소셜벤처허브, 임팩트서클, 임팩트얼라이언스가 공동 주관했다. 행사는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비영리 생태계의 성장을 위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oil_line@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