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회 테크포럼 개막…25개 기술세션·기술대상 15건 발표
포스코그룹이 18일부터 이틀 동안 그룹의 연례 기술 행사인 ‘포스코그룹 테크포럼(Tech Forum)’을 진행한다. 테크포럼은 그룹의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1989년 처음 열린 이후 올해로 37회째를 맞았다.

개회식은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열렸다. 행사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을 비롯해 주요 계열사 대표와 기술 조직 임직원 등 약 1300명이 참석했다.
장 회장은 개회사에서 현 경영 환경을 언급하며 “기술 혁신은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 수단”이라며 “현장과 연구소가 함께 참여하는 원팀(One-Team) 방식의 초격차 기술 과제를 추진해 기술 개발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 사업과 관련해 “자원 확보의 중요성은 계속 커지고 있다”며 글로벌 자원 조사와 혁신 기술 확보의 필요성을 다시 짚었다. 또한 “전 직원의 AI 활용 역량을 높여 모든 현장에서 AI 기반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개회식 후에는 올해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직원을 선정해 시상하는 ‘포스코 기술대상’ 수상식이 열렸다. 올해 기술대상은 혁신상 2건, 창의상 4건, 도약상 4건, 도전상 3건 등 총 15건이 선정됐다.
기술대상 최고상인 혁신상은 포항제철소 제강부와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연구센터에 돌아갔다. 포항제철소 제강부는 제강 공정의 수작업을 AI 기반으로 전면 자동화한 ‘제강 전 공정 자율 조업 기술’로 평가를 받았다. 이 기술은 작업자 간 편차를 줄이고 전체 공정 시간을 기존 대비 약 10% 단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연구센터는 ‘전구체 연속식 순환 농축 공정 양산화 기술’로 선정됐으며, 신공정 도입을 통해 가공비 절감과 함께 생산성을 업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포스코그룹은 올해 포럼에서 25개의 기술세션을 구성했다. 세션에는 내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해 주요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하며, 특히 로봇 기술과 핵심광물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진다.
장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그룹은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한 경쟁력 강화에 그룹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회사는 ‘2 Core + New Engine’ 전략에 따라 기술 수요를 사전에 파악해 이를 기술 개발로 연계하는 Corporate R&D 체제 전환을 추진 중이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