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8일(목)

세계 경제 전문가 100人 “한국 대기업, 기후위기 대응 미흡”

국내 주요 대기업의 기후위기 대응이 미흡하다는 글로벌 경제 전문가들의 평가가 나왔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한국갤럽과 함께 지난 4월29일부터 5월14일까지 한국·미국·영국·프랑스·독일 등 5개국에서 20명씩 총 100명의 경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응답자들은 ‘삼성·현대·LG·포스코 등 한국 기업들이 기후위기에 잘 대응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약 34%만 ‘잘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두 배인 66%에 달했다. 특히 해외 전문가들의 부정 평가 비율이 높았다. 국내 전문가들의 경우 ‘한국 기업들이 기후위기에 전혀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10%에 그쳤지만, 프랑스 전문가들은 30%, 미국·영국·독일은 25%를 기록했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제공

상당수 전문가는 주요 선진국들이 기후위기 대응과 무역정책을 연계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위기 대응과 무역정책을 얼마나 연계시킬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29%가 ‘적극적으로’, 44%는 ‘어느 정도’ 연계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문항에서도 국외 전문가와 국내 전문가 간 인식차가 드러났다. 미국·영국 전문가 80%는 ‘연계 가능성이 크다’고 답했지만, 국내 전문가는 65%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기후위기 대응 차원의 탄소국경세 도입 절차가 진행 중인 미국·유럽과 아직 상황을 지켜보는 한국의 인식에 차이가 있다”며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한국이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기간이 다른 선진국들보다 짧아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재계의 이 같은 시각은 매우 근시안적”이라고 비판했다.

탄소국경세 도입에 따른 영향으로는 ‘저탄소 재생에너지 확대’(80%·중복 가능)가 가장 많았고, ‘탄소 다배출 기업의 경쟁력 하락’(76%), ‘저탄소 제품 생산을 위한 세계적인 공급망 재편’(60%) 등이 뒤를 이었다. 탄소국경세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재생에너지 확대’(87%) ‘탄소 저감 신기술 개발’(71%) ‘탄소세 도입’(68%) ‘내연기관차 퇴출·전기차 육성’(61%)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국내 경제연구기관의 전문가 데이터베이스와 다보스포럼 등 국제경제포럼 참석자 중 경제일반·무역·금융 전문가와 주요 언론사 기자 등을 선정해 전화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강태연 더나은미래 인턴기자 kite@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