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사 직원 자녀가 등록하지 않으면 그룹사 자녀도 들어올 수가 없어요. 직장 어린이집 중에 협력회사 직원들까지 품는 방식으로 운용하는 곳은 거의 없어요.” 경북 포항에 있는 동촌어린이집 최원실 원장의 하루는 바쁘다. 이른 출근을 하는 학부모를 위해 오전 6시 50분에 문을 열고 매일 원생 110명을 맞이한다. 직원은 보육 교사 33명을 포함해 총 41명에 이른다. 퇴근이 늦은 부모를 위해 오후 7시 30분까지 운영하고 저녁 식사도 제공한다. 지난달 21일 포항 동촌어린이집에서 만난 최 원장은 “일반적인 직장 어린이집은 본사 직원 자녀만 이용하지만, 포스코 직장 어린이집은 협력사 직원 자녀가 등록해야 1대1로 그룹사 직원들이 들어올 수 있다”면서 “정원 159명을 다 채우지 못한 이유도 상생형 운영 원칙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협력사 직원 자녀도 함께” 포스코가 지난 2020년 포항·광양 사업장에 각각 100억원을 들여 ‘상생형 공동 직장 어린이집’을 마련했다. 포스코 포항 본사 바로 옆에 들어선 동촌어린이집은 전체 면적 2541㎡로 개방형 2층 구조로 설계됐다. 실내 중앙 정원에는 바나나·멜론·망고나무 등을 심었다. 원생들은 열대 과일을 직접 수확해 맛볼 수 있다. 또 개방형 도서관을 비롯해 실내에서 뛰놀 수 있도록 러닝 트랙도 조성돼 있다. 포스코 동촌어린이집은 지난 2020년 근로복지공단이 주최한 ‘직장 어린이집 더(THE) 자람 보육 공모전’에서 공간·환경 디자인 분야 대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협력사들은 컨소시엄에 참여해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낼 수 있다. 현재 포항 동촌어린이집과 광양 금당어린이집에는 각각 협력사 51곳이 참여했다. 또 다른 특징은 전액 무료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