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에코나우, UN청소년환경총회 대표단 모집…주제는 ‘기후위기와 플라스틱’

국내외 중·고등학생 300명 선발, 참가 신청 10월 13일까지 환경단체 에코나우가 유엔환경계획(UNEP), 유엔협회세계연맹(WFUNA)과 공동 주최하는 ‘2025 UN청소년환경총회’의 청소년 대표단을 모집한다. 대표단 활동은 11월 1일부터 온라인 워크숍과 사전 미션으로 시작된다. 본 총회는 11월 15~16일, 성남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열린다. 국내외 중·고등학생 300명을 선발하며, 신청은

“ESG는 유행이 아니다, 기업 생존의 기본값이다”

[인터뷰] 고윤주 LG화학 최고지속가능전략책임자(CSSO) 전무 지난 19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기조가 미국 청정에너지 산업의 일자리 성장을 위협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미국 환경단체 E2(Environmental Entrepreneurs)의 ‘클린 잡스 아메리카(Clean Jobs America)’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청정에너지 분야 일자리는 미국 전체 노동시장보다 세

[세상은 여전히 따뜻한 法] 위기청소년 곁에, 변함없는 마음으로 

법무법인(유) 세종은 2014년 공익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공익사단법인 ‘나눔과이음’을 설립했다. 주요 사업은 위기청소년 법률 지원이다. ‘위기청소년’이란 청소년기본법상 청소년 연령(만 9세~24세)에 속하면서 가정폭력, 학교폭력 등 다양한 사유로 위기에 놓인 이들을 뜻한다. 나눔과이음은 ‘아웃리치 활동’으로 청소년을 만난다. 청소년이 모이는 거리에 천막을 치고

작년 정부가 지원한 기후정책자금 94조 원 중 17조 6000억원이 LNG 운반선 금융에 투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Unsplash
‘녹색’ 간판 건 정부 기후금융 17조, LNG 운반선으로

해외는 지원 중단했는데 한국만 ‘친환경’ 분류 고수 정부가 ‘기후금융’이라는 이름으로 조성한 정책자금의 상당 부분이 LNG 운반선 금융에 쓰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제적으로는 이미 화석연료 지원에서 배제된 LNG가 한국에서는 여전히 ‘친환경’으로 포장돼 공적자금을 빨아들이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신장식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5대

폐배터리 108톤 모았다…LG전자, 아동·청소년에 자원 순환 교육

고객 참여형 ‘배터리턴’ 캠페인, 교육 도서 기부·장애인 시설 지원으로 확산 LG전자가 고객 참여형 자원 순환 캠페인 ‘배터리턴’을 통해 아동·청소년 대상 교육과 기부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단순한 재활용 캠페인을 넘어, 미래세대에게 생활 속 자원 순환의 중요성을 알리겠다는 취지다. LG전자는 최근 한국환경공단,

글로벌·기후·다양성…아산나눔재단 정창경, 새로운 개척자 찾는다

총상금 3억7000만원…아마존 특별상 신설, 23개 팀 무대 오른다 아산나눔재단이 민간 최대 규모 창업경진대회인 ‘2025 정주영 창업경진대회(정창경)’ 데모데이를 오는 10월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정창경은 아산 정주영 현대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을 계승해 전국에 창업 문화를 확산하고,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2012년 시작됐다.

기후투자가 돈 된다…글로벌 기업들 ‘16% 더 쏟아붓는다’

전 세계 1924개 기업 조사…82% “탈탄소화로 이익”기후대응 성과 갈라놓은 건 디지털 역량 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후퇴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기업들이 기후 대응을 통해 뚜렷한 재무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CO2 AI가 16일 발표한 ‘2025 기후 설문조사’에

기빙코리아 2025, 비영리 조직에 던진 질문 ‘임팩트를 어떻게 말할 것인가’

‘기빙코리아’ 6년만 오프라인 개최, 비영리 임팩트 인식 조사 발표 연구자·현장 실무자가 직접 전하는 임팩트 측정 경험 및 협력 사례 공유 “비영리조직의 사회적 임팩트를 가르는 건 외부 자원이 아니라 내부 역량이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가 발표한 조사 결과다. 비영리조직의 미션 내재화, 이사회의 전문성,

[투자자, 연금술사가 되다] 사회를 변화시키는 ‘악보’를 읽어드립니다

작년에 이어 한국을 찾은 일본 피아니스트 츠지이 노부유키는 선천적 시각장애를 지니고 있다. 점자 악보가 귀해 그는 왼손·오른손 파트를 코치가 한 소절씩 녹음해 준 것을 들으며 곡을 외워 연습한다. 지난달 자카르타에서 만난 공유주거 스타트업 루키타(Rukita)와의 미팅은 마치 그 코치가 된 듯한

난민촌의 아이들, 물동이 대신 책상 앞에 [국제 평화의 날]

팔레스타인·파키스탄에서 이어진 코이카 인도적 지원 주민들의 삶을 지탱하고 공동체 회복의 기반을 만들다 이스라엘 공습 때 머리에 파편을 맞아 쓰러졌던 팔레스타인 청년 아흐마드 아베드(19)는 한때 밥을 혼자 먹는 것조차 힘들었다. 22일간의 혼수상태에서 깨어난 뒤에도 팔다리가 마비되고 시력을 잃어 계단을 오르거나 세수를

쓰고 버리던 핸드타월, 다시 종이로…유한킴벌리 529톤 탄소 줄였다

31개 기업·기관 참여, 월 평균 재활용량 25톤 유한킴벌리가 핸드타월 자원순환 캠페인 ‘바이사이클(BI:CYCLE)’을 통해 지난 3년간 온실가스 529톤을 감축했다고 19일 밝혔다. 2022년 9월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 이후 약 473톤의 사용 후 핸드타월을 재활용한 결과다. 물기만 닦은 핸드타월은 제지 공정에서 다시 원료로

스리랑카 학교급식 3년…아이들 웃고, 농가도 살았다

금융산업공익재단·WFP, 스리랑카 현장 점검 금융산업공익재단이 유엔세계식량계획(WFP)과 함께 지난 8~12일 스리랑카 중부 마탈레(Matale) 지역을 방문해, 지난 3년간 지원해온 학교급식(Home-Grown School Feeding·이하 HGSF) 사업 성과와 과제를 점검했다. 재단은 2023년부터 3년간 10억원을 지원해 WFP 스리랑카 사무소의 HGSF 프로그램을 후원해왔다. 현지 소규모 농가와 양계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