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화 이후 첫 1.5도 돌파…해수면 상승·빙하 손실도 심화온실가스 농도 최고치…“재생에너지 확대 없으면 더 심각해질 것” 2024년이 관측 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다.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올해 지구 평균 지표면 기온은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55도(±0.13도) 상승했다. 이는 산업화 이후 처음으로 1.5도를 초과한 수치로, 175년간의 관측 기록 중 최고 온도다. 2023년 기록을 넘어선 2024년의 폭염 원인으로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와 기후 패턴 변화가 꼽힌다. 냉각 효과를 유발하는 라니냐에서 온난화 효과를 일으키는 엘니뇨로 전환된 영향이 컸다. 여기에 태양 주기의 변화, 대규모 화산 폭발, 냉각 에어로졸 감소 등이 예상보다 급격한 기온 상승을 부추겼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세계기상기구는 지구 평균 온도가 1.5도를 초과했다고 해서 파리협정 목표(1.5도 이하 유지)가 즉시 무산된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셀레스테 사울로 WMO 사무총장은 “이는 우리가 생명과 경제, 그리고 지구를 더 큰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는 경고”라고 말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1.5도 이하 목표는 아직 가능하다”면서도 각국이 신속하게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 각국이 제출할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해수면 상승·빙하 감소 각종 지표 연달아 갱신한 2024년 2024년은 기온뿐 아니라 빙하 감소·해수면 상승·해양 온난화 등 다양한 기후변화 지표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해이기도 하다. 2023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CO₂) 농도는 420ppm(±0.1ppm)까지 상승했다. 이는 산업화 이전보다 151% 증가한 수치로, 지난 80만 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