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2000대 탄소 줄이는 코끼리…WWF “보전 시급”

세계 코끼리의 날 맞아 WWF, 서식지 보전·밀렵 차단·공존 방안 강조

세계자연기금(WWF)이 8월 12일 ‘세계 코끼리의 날’을 맞아 코끼리가 숲과 초원 생태계 유지, 기후위기 대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국제적 보전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WWF는 8월 12일 세계 코끼리의 날을 맞아 코끼리가 숲의 건강성과 기후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WWF

현재 전 세계에는 아시아코끼리, 사바나코끼리, 둥근귀코끼리 등 3종이 서식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불법 상아 밀렵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따르면 모든 종이 ‘위기종’으로, 아프리카 둥근귀코끼리는 10년간 개체 수가 80% 줄어 ‘위급(CR)’ 단계에, 보르네오 아시아코끼리는 1000마리 이하로 ‘멸종위기(EN)’ 단계에 놓였다.

WWF는 정부·지역사회와 협력해 보호구역 확대, 서식지 모니터링, 반밀렵 활동을 벌이고 있다. 아프리카 5개국에 걸친 최대 자연보전지역 ‘카방고-잠베지 통합보전지구(KAZA)’에서는 모니터링과 반밀렵 기술 교육을 병행하며, 불법 상아 거래 추적 프로그램(Monitoring the Illegal Killing of Elephants)으로 밀렵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WWF에 따르면 코끼리는 하루 150㎏ 이상의 식물을 섭취해 식물 밀도를 조절하고 대형 나무 성장을 촉진해 숲의 탄소 흡수력을 높인다. 열매를 먹고 배설하며 종자를 퍼뜨려 산림 재생에도 기여한다. 연구 결과, 코끼리 한 마리는 숲의 탄소 흡수력을 약 250에이커(100만㎡) 높이며, 이는 연간 차량 2000대의 탄소 배출량을 상쇄하는 효과와 맞먹는다.

WWF는 “코끼리 보전은 단순한 종 보호를 넘어 기후 안정성을 유지하는 필수 활동”이라며 “서식지 보전, 불법 거래 차단, 사람과 코끼리의 안전한 공존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채예빈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