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진 교자재 긁어모아 무작정 떠나… 케냐·몽골 현지에서 특수교사 양성했어요” “국가와 시장 사이, 사각지대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건 ‘비영리단체’들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이다.” 미국 기부문화를 분석한 세계적 석학 기소르망의 말이다. 2013년 현재 우리나라에 등록된 비영리단체는 1만1579개이지만, 사회 곳곳에서 일하는 작은 비영리단체들의 활동이 중요한 이유다. 더나은미래는 ‘사회를 바꿀’ 열정과 비전을 갖고,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전문성으로 일하는 작지만 강한, ‘강소(强小) NPO 시리즈’를 시작한다. 그 시작은, 개도국 장애아동 특수교육 문제 해결에 힘쓰는 ‘그린티처스’다. 편집자 주 “케냐에서 우연히 특수교육 학교에 방문한 적이 있어요. 너무 충격을 받았죠. 건물은 전기가 아예 안 들어오고 교육자재는 텅텅 비어 있었어요. 컴컴한 교실에 새까만 다운증후군 아이들이 빽빽이 들어차서 점심을 먹는 모습을 보고, ‘아, 뭐라도 해야겠다’ 싶었습니다.” 2000년, 고등영 그린티처스 대표(강남대 특수교육과 교수)가 케냐에서 마주한 현실이다. 해외 각국에서 온 원조단체들이 넘쳐났지만, 여전히 장애아동은 교육적 혜택으로부터 거리가 멀었다. 고 대표가 사무총장으로 일했던 파라다이스복지재단이 연이 되어, 전낙원 전 파라다이스 회장이 10만달러(1억원)를 기증했다. 케냐 전(前) 모이 대통령이 기증한 케냐 카바넷 지역에, ‘에베네셀 특수학교’가 세워졌다. 이듬해 여름, 고 대표의 진두지휘에 알음알음 모인 특수교육 제자 20여명이 가진 교구재들을 긁어모아 케냐로 떠났다. 2000년부터 지금까지 15년째 그린티처스에서 활동하는 이성애(48) 서울정진학교 초등부 교사는 “당시 한국에선 특수교육에 관심도 없고 할 수 있는 것도 적어 무력감이 들었는데, 케냐에 가니 내가 아는 지식이 너무도 유용하게 쓰여 뜨거운 마음이 들었다”고 했다. 초기 단계가 세팅되고, 현지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