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진화하는 장학사업 장학사업은 비영리 업계의 전통적 자선 프로그램이다. 국내 최초의 공익 재단도 장학사업으로 시작했다. 1939년 설립된 ‘양영회(養英會)’는 일제강점기에 지방에서 서울로, 바다 건너 일본으로 유학하는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했다. 해방 이후 기업 주도로 생긴 여러 공익 재단들도 대부분 인재 육성이라는 목표로 학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어졌다. 수십 년간 이어져온 장학사업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 건 2000년대 들어서다.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폭넓게 이뤄져 온 장학 대상자를 분야별 우수 학생으로 특정하고, 해외에서 한국으로 공부하러 오는 유학생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개인에 대한 지원이 아닌 사회 변화를 일으키는 ‘스타트업 지원’까지 장학사업의 범주에 포함하시키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현대차정몽구재단은 2007년 재단 설립 이후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장학사업을 벌였다. 지난 2021년에는 기존 장학사업을 ‘현대차 정몽구 스칼러십(scholarship)’이라는 이름으로 개편하고 장학의 편견을 깨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글로벌 ▲미래산업 ▲국제협력 ▲사회혁신 ▲문화예술 ▲사회통합 등 장학을 여섯 분야로 나누고 아세안 8국 유학생, 이공계 석·박사, 클래식 전공자, 청년 창업가 등으로 스칼러십 펠로우로 늘려가는 중이다. 향후 5년간 미래 인재 1100명을 육성한다는 게 재단의 목표다. 하나, 사회혁신가를 키워라 올해 17년 차를 맞은 현대차정몽구재단의 기금은 총 8500억원. 정몽구 명예회장 사재로 출연했다. 2007년 11월 600억원을 시작으로 2008년 300억원, 2009년 600억원을 출연했다. 본격적인 장학사업이 시작된 2011년에는 개인 사재 출연금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5000억원을 기탁했다. 2013년에는 1000억원씩 두 차례에 걸쳐 사재를 증여했다. 재단 운영에는 일절 관여하지 않는 게 특징이다. 당시 정 명예회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