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하는 당신, 지금 행복하십니까?” 2013년 웹툰 ‘송곳’, 2014년 드라마 ‘미생’은 우리에게 이같은 질문을 던졌다. 이후 ‘송곳’은 독자의 인기에 힘입어 드라마로도 제작됐지만, 노동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한 광고에서 최저시급을 알려줬던 아이돌 혜리는 ‘맑스돌’로 불리고, 최악의 실업난 속에서도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은 27.7%다(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한국경영자총협회). 그렇다면 교육은 변했을까.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노동 교육에 할애되는 시간은 최대 5시간에 불과하다. 대학교육은 어떨까. 대학시절에는 아르바이트, 인턴, 계약직 등으로 ‘첫 노동’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아 노동교육이 절실하다. 지난달 9일, ‘노동인권감수성Tok!Talk!’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희대를 취재했다. “변기에 5만원을 떨어뜨렸다면 어떨까요? ‘사생결단’하고 찾겠죠?” 오후 2시, ‘노동인권감수성Tok!Talk!’ 수업을 담당하는 김창수 교수가 간단한 사자성어 퍼즐로 수업을 시작했다. 강의자료가 띄워진 스크린에는 10원부터 5만원까지 돈을 잃어버렸을 때 나타날 만한 태도에 관한 사자성어가 답으로 제시됐다. 학생들은 사자성어를 맞히면서도 이게 수업내용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갸우뚱하는 표정이었다. “그런데 만약 잃어버린 게 돈이 아니라 나의 인권과 건강이라면 사생결단하고 찾으려는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오늘 주제는 산업재해입니다.” 변기에 10원을 떨어뜨리면 태연자약(泰然自若)할 수 있지만, 5만원을 떨어뜨리면 어떻게든 돈을 찾으려 하는 게 인간의 본성. 그러나 건강과 인권은 돈보다 더 중요한 가치임에도 돈보다 가벼이 여기곤 하는 세태를 암시하는 대목이었다. 김창수 교수는 “산업재해와 같이 일을 하다 건강을 잃거나 인권을 침해당하는 일이 생겼을 때 태연자약하거나 수수방관(袖手傍觀)하지 말아야한다”고 당부했다. ◇토의하고 공감하고··· 몸과 마음으로 키우는 노동인권 감수성 산업재해는 일을 하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