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 색달리 해석한 <푸른 늑대의 파수꾼> 작가 김은진 인터뷰10년 간 문제 고민, 5년 자료 조사 끝에 출간…제9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위안부 편견 깨고 할머니들 상상 속에서라도 행복 느끼게 하고파 시‧공간을 초월하며 잘못된 과거를 바로 잡는 스토리로 큰 사랑을 받았던 드라마 ‘나인’, ‘시그널’. 그 통쾌한 전개를 일본군 성노예 문제에 적용해 주목 받는 작품이 있다. 바로 제9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인 소설 <푸른 늑대의 파수꾼>이다. 방학을 맞아 혼자 사는 할머니의 집에 봉사활동을 간 열여섯 살 소년 햇귀. 우연히 발견한 시계태엽을 감았다 1940년대 일제강점 하의 경성에 떨어지고 만다. 그곳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알게 된 할머니 수인이 일본군 성노예로 끌려가기 전 소녀시절을 마주한다. 하루코라는 딸을 둔 일본 관리 집에서 식모로 일하면서도, ‘가수’라는 꿈을 키우던 때였다. ‘할머니의 고통스런 기억을 없애드릴 순 없을까?’ 햇귀는 소녀 수인을 구하고자 하루코에게 일본의 조직적인 성노예 모집 사실을 설명하지만, 하루코는 “우리 아버지는 항상 조선인들을 위해 일한다고 하셨는데…” 라며 믿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 날 하루코는 아버지가 주도한 경성 위안단 모집 트럭에 오르고, 결국 하루코와 수인의 운명은 처음과 달라진다. “할머니들의 청춘도 ‘케이팝스타’를 꿈꾸는 요즘의 소녀들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지금의 우리처럼 평범한 자유를 누리고 싶어 했단 것도요. 더불어 누구든 무차별적인 폭력 하에서는 희생자가 될 수 있음을 말하려 했어요.” 지난달 7일, 서울 마포구 상수동 한 카페에서 만난 <푸른 늑대의 파수꾼>의 저자 김은진(45) 작가는 작품에 담은 생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