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모두를 위한 투자-①] 인류의 삶 곳곳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역습

기후변화, 더 이상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이제는 소수의 운동가들만 ‘친환경’을 외치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솔루션은 무엇일까요. 더나은미래는 SEED 프로젝트와 함께 기후변화의 현실과 대안을 짚는 ‘친환경 모두를 위한 투자’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인류에게 최고 위협은 핵무기나 내전이 아닌 ‘기후변화’다.” 지난 3월, 미국 유엔 본부를 방문한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의 말이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지난해)남아시아 홍수로 4100만명이 피해를 봤고, 아프리카에서는 가뭄으로 90만명이 살던 곳에서 쫓겨났다”며 세계 각국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것을 촉구했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실제로 인류의 삶 곳곳에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 2013년 필리핀을 강타한 하이옌은 무려 8000여 명의 사상자를 냈고, 지난해 미국을 덮친 허리케인 어마는 300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입혔다. 강한 엘니뇨(적도 태평양 해수면이 이상 현상으로 평균 이상 높아지는 것)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기아 인구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고, 최근엔 지카 바이러스와 말라리아, 영양결핍 등 전염병의 증가 또한 기후변화의 영향이라는 연구까지 나왔다. 지난해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액은 약 3200억 달러. 우리돈 약 340조40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다.  기후변화는 우리의 밥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류의 에너지원인 농식물들이 떼거지로 폐사하거나 값이 오르는 사례가 잦아지고 있는 것.우리나라에서만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의 수가 2015년 265만마리에서 2016년 614만마리, 지난해엔 726만마리까지 늘었다. 어패류 역시 고수온 현상으로 줄줄이 폐사하고 있다. 2015년 국내 양식장에서 40톤의 바지락이 떼거지로 죽음을 맞았고, 지난해에도 넙치, 강도다리 등의 집단폐사가 이어졌다. 우기와 건기가 번갈아오는 아프리카 케냐의 경우, 비가 오지 않아 주식인 옥수수의 가격이 오르는가하면,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