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CSR 담당자 100명 설문조사 국내 기업들은 ‘리스크 관리’를 CSR(기업의 사회적책임)의 최우선 목표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이하 지경원)의 국내 CSR 담당자 100명 대상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의 40%가 ‘기업 리스크 관리’를, 28.9%가 ‘내외부 평판 제고’를 목표로 꼽았다. ‘사회문제 해결 및 지역발전’을 꼽은 기업 담당자는 13.3%에 불과했고, 지배구조 선진화·고객 유치 및 관리·우수 인재 확보 및 유지를 꼽은 응답자는 한 명도 없었다. 2015년 해당 기업에서 집중했던 이슈로도 ‘리스크 관리(16.7%)’가 가장 많았고, 윤리경영(6.7%)·인권경영(3%)·지배구조(0.4%)에 대한 관심은 저조했다. 올해 주목하고 있는 이슈로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이하 SDGs) 대응’이 84점으로 가장 높았다. SDGs란 지난해 9월 유엔 개발정상회의에서 채택한 것으로, 2030년까지 모든 형태의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전 세계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 등이 합의한 17가지 핵심 목표다. 이 밖에 ‘신기후체제(파리 협정)와 온실가스 감축 노력(80점)’, ‘공급망 관리(62점)’, ‘공유가치창출(46점)’, ‘윤리경영 고도화(38점)’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가장 중요한 CSR 이슈와 관련해 CSR 담당자 및 외부 전문가(50명)에게 비교 설문한 결과, CSR 담당자들은 ‘신기후체제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꼽았지만 외부 전문가들은 ‘SDGs’를 꼽는 등 의견이 엇갈렸다. CSR 키워드별로 기업 실무자들의 인식 수준도 달랐다. ‘공유가치창출(CSV)을 알고 있다’고 답변한 담당자가 84.4%로 가장 높았고, SDGs(71.1%) , 신기후체제(64.4%)가 뒤를 이었다. 반면, 최근 글로벌 기업들 사이에서 화두로 떠오른 ‘EU의 CSR 법제화’나 ‘기업과 인권에 관한 이행지침’에 대해선 모르는 담당자가 절반에 달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CSR을 비용보다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