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YFW, 장애인 모델 70명 런웨이장애 유형·체형 고려한 의상 선보여‘어댑티브 패션’ 5년 내 7조원 규모로 성장 2023 뉴욕패션위크(NYFW) 마지막 날이던 지난 13일(현지 시각). 오후 7시에 시작한 ‘패션 레볼루션(A Fashion Revolution)’ 런웨이에는 타미힐피거, 아디다스, 빅토리아시크릿 등 9개 브랜드 의상이 한 번에 무대에 올랐다. 이들 브랜드가 선보인 건 장애인을 위한 의류인 ‘어댑티브 패션(adaptive fashion)’. 각 모델의 장애 유형과 체형을 고려해 제작한 의상이었다. 휠체어를 탄 척수마비 장애인, 왜소증 장애인, 의족을 찬 장애인 등 70명이 직접 모델로 섰다. 이들은 캐쥬얼 의상부터 운동복, 드레스, 속옷 등 다양한 스타일을 소화했다. 패션쇼에 어댑티브 패션이 등장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최근 미국, 유럽 패션위크에서는 비영리단체가 기획한 어댑티브 패션쇼가 종종 열린다. 이번 무대도 비영리재단 런웨이오브드림스(Runway of Dreams)가 주축이 돼 준비했다. 단추 대신 자석 런웨이오브드림스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마이애미 등에서 ‘패션 레볼루션’ 런웨이를 총 10회 열었다. 패션쇼가 열릴 때마다 다양한 인종, 연령, 장애를 가진 모델이 각자의 스타일을 선보였다. 이 밖에도 패션 전시회와 파티를 개최하고, 매년 차세대 어댑티브 패션 디자이너를 선정해 장학금도 수여한다. 런데이오브드림스 이사이자 선천성 절단장애를 가진 데이브 스티븐스는 “나는 청소년기에 다른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입는 옷을 나는 입을 수 없다는 사실을 감당하기 어려웠다”며 “자신이 원하는 옷을 입고 패션쇼에 서는 건 장애인에게 자신감을 키워준다”고 말했다. 또 “패션쇼는 많은 사람에게 어댑티브 패션이 중요한 이유와 이를 현실화할 방법을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