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금)

납 성분 섞인 ‘유연휘발유’,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인체와 환경에 악영향을 끼쳤던 유연휘발유가 지구 상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30일(현지 시각) 유엔환경계획(UNEP)은 “지난달 전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유연휘발유를 사용하던 아프리카 알제리에서 남아 있던 유연휘발유 재고를 모두 소진됐다”고 밝히며 유연휘발유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중단됐다고 공식 선언했다.

지난 30일(현지 시각) 유엔환경계획(UNEP)은 납 성분이 섞인 유연휘발유의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중단됐다고 공식 선언했다. /UNEP 제공

납 성분이 섞인 유연휘발유는 지난 1921년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자회사인 데이턴리서치연구소(Dayton Research Laboratiories)에서 개발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휘발유에 납 성분이 함유된 첨가제를 투입하면 자동차의 ‘노킹현상’(엔진룸에서 망치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어 1920년대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됐다.

문제는 납 성분이 운전자를 비롯한 대중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됐고, 대기오염 문제까지 일으켰다. UNEP는 “유연휘발유 개발은 환경과 공중 보건에 재앙과 같았다”며 “1970년대까지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모든 휘발유에는 납이 포함돼 있었다”고 했다.

유연휘발유 폐지는 미국의 과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1922~1995)이 1965년부터 진행한 ‘납 오염 반대’ 운동을 계기로 확산했다. 미국은 1973년 유연휘발유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기 시작했고, 이후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유연휘발유 사용이 금지됐다. UNEP는 선진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유연휘발유를 폐지하기 위해 2002년부터 캠페인을 벌여왔다. 한국도 1987년까지 모든 자동차가 유연휘발유를 사용했지만, 서울올림픽이 열린 1988년부터 유연휘발유 자동차에 대한 규제를 마련하기 시작했고, 1993년 1월부터 유연휘발유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잉거 안데르센 UNEP 사무총장은 “전 세계적으로 100년 동안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환경을 악화시킨 유연휘발유에서 벗어났다”며 “친환경 차량과 전기이동수단으로의 전환을 통해 인류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동력을 얻었다”고 했다.

강명윤 더나은미래 기자 mymy@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