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23일(월)

투명한 사업평가·재정감사로 전문성과 역량 높여야

비영리단체 앞으로의 과제

국내 복지와 해외원조·개발협력 등을 담당한 한국의 비영리단체(NPO·Non Profit Organization)들의 재정·사업 규모가 정부기관을 초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NPO공동회의가 최근 발간한 ‘2011 개발복지 NPO 총람’에 따르면, NPO들의 예산규모는 1조5900억원으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모금총액 3692억원의 4.3배에 달했다. 이 중 정부가 제공하는 ‘정부보조금’은 14.3%에 불과했고, 일반국민 모금으로 구성된 ‘회비 및 후원금’ 비중이 52.3%였다.

NPO들의 전체 사업 및 운영에 투입된 비용 1조6600억원 중 국내사업에 쓰인 돈은 9363억원(56.4%)이고, 해외사업은 4900억원(29.5%)을 차지해 여전히 국내사업 비중이 높았다. 한편 NPO들의 해외사업과 북한사업을 합한 사업비용은 5208억원으로, 2011년 국제협력단(KOICA)의 ODA(공적개발원조) 지원실적 4518억원의 115%에 해당했다.

한국 NPO공동회의가 주최한 ‘민관협력 콘퍼런스’.
한국 NPO공동회의가 주최한 ‘민관협력 콘퍼런스’.

이번 조사에 참여한 NPO 기관의 인력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직원 규모는 1만9562명으로, 이 중 해외사업을 담당하는 직원 및 현지파견 직원은 937명으로 드러났다. 반면 자원봉사자 규모는 총 1253만여명으로, 해외에만 1만3028명이 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명 이상의 대규모 자원봉사자들을 해외로 파견하는 기관은 21개(8.7%)로, 해외 자원봉사자 파견사업에 상당히 적극적인 모습을 띠었다.

비영리단체의 ‘빈익빈 부익부’도 강화되고 있었다. 모금액 100억원 이상 단체(11곳)의 모금액은 6409억원으로, 241곳 전체 모금액 8337억원의 76.9%를 차지했다. 조사단체 중 175곳이 모금액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NPO였다.

한편 국내사업의 경우 종합복지사업(30.4%), 아동복지사업(25.4%)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해외사업은 교육사업(65개 기관, 27.1%) 비중이 가장 높았고, 장학금 지원과 교재비, 학용품 지원 등에 집중돼 있었다. 보건의료사업(60개 기관, 25%)이 그 뒤를 이었다. 일대일 아동결연사업의 경우, 전체 조사 참여기관 해외사업 재정총액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다. 대북지원사업의 경우, 조사기관 중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29곳뿐이었다.

NPO공동회의 김희정 사무국장은 “NPO가 시민과 기업의 지원을 다각적으로 받으면서, 정부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재량적 역량을 갖춰나가고 있다”며 “많은 NPO들이 사업 평가와 재정 감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해 책임성과 투명성을 위한 노력을 벌이고 있는데, 이와 함께 사업의 전문성과 역량을 높이는 것이 과제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